![]() |
||
정치권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직전까지 정국을 뒤흔들던 통일론, 간첩단 증거 조작, 국정원장 해임 등 선거이슈가 세월호 참사로 사라지면서 여야의 선거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여당의 경우 참사 발생 초기 정부의 무능력한 대응에 따른 국민적 반감이 ‘정권 심판론’으로 확대 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뿐만 아니라 정치권에 대한 반감이 투표율 저하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선거관리위원회도 대책마련에 부심하는 분위기다.
정치권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가 이번 지방선거에 미친 가장 큰 파장은 선거 구도의 변화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고공행진으로 힘을 받지 못했던 ‘정권 심판’ 프레임이 세월호 참사로 부상하게 됐다는 것.
구조는 고사하고 탑승자 수 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정부에 국민적 불만이 고조됐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야권이 상대적인 이익을 볼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분석이다.
정권 심판론이 제기될 수 있지만, 세월호 참사에 따른 국민감정이 정치권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는 모습도 곳곳에서 관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1야당으로서 정부의 무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역풍’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세월호 참사로 인한 파장은 투표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실정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정치적 무관심을 부추기며 결국 투표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선관위는 6.4 지방선거는 통상 50%대를 유지했던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보다 현저히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투표율 제고를 위한 이렇다 할 대안은 없는 상황이다.
정부의 무능력한 모습을 본 국민들 사이에 정치권에 대한 불신감정이 넓게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중앙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 모두 세월호 참사에 따른 유탄을 피하기 위해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국민적 반감을 피하기 위해 선거 전략을 변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