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최근 일부 범여권 국회의원들과 호남지역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지방 이전 필요성을 주장하는 가운데, 용인지역 국회의원들이 공동 대응에 나섰다.
내년도 지방선거를 앞두고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용인반도체 국가산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고 하자, 지역 국회의원들이 대응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국혁신당 서왕진 국회의원을 비롯한 호남지역 시민단체 등은 호남지역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막대한 투자로 건설한 송전선로를 통해 용인으로 공급하는 것보다, 호남 지역에 반도체 국가산단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서 의원은 산업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통해 잇따라 용인반도체 국가산단에 대한 비판적 지적을 이어가고 있다.
서 의원은 지난달 13일과 24일 진행된 산업부 국정감사 및 종합감사에서 “정부는 562조 원 규모의 반도체 투자를 용인에 몰아넣는 전략을 추진 중”이라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수도권 집중 투자는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5극·3특 성장엔진’ 정책과 균형발전 기조를 정면으로 위배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광주‧전남지역 시민단체들도 성명서를 통해 “현 정부가 균형발전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윤석열 정권 당시 발표된 잘못된 정책인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34만 5000볼트 초고압 송전선 건설사업을 밀어붙이며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 폐해를 담습하고 있다”며 “반도체 국가산단을 광주·전남에 건설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 이상식(용인갑)·손명수(용인을)·부승찬(용인병)·이언주(용인정) 국회의원은 지난달 24일 공동입장문을 내고 “용인반도체클러스터는 대한민국 반도체 경쟁력은 물론이고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핵심사업”이라며 서 의원을 비롯한 호남지역 단체들의 ‘분산형 반도체생태계’ 주장을 비판했다.
이들 국회의원들은 성명서에서 반도체 경쟁력이 국가 안보 및 경제 안보와 직결되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대한민국 반도체 경쟁력의 핵심이자 지역 경제 활성화의 중추임을 강조했다.
용인지역 의원들은 입장문에서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국가 전체의 전략적 이익을 위해 용인에 입지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용인 클러스터는 수원, 평택, 화성, 성남, 이천 등 경기 남부권의 기존 반도체 생태계와 결합해 세계 최고의 생산기지로 발전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며 “ 중차대한 사업을 반복해서 문제 삼는 행위로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야기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지역정가와 산업계는 내년 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용인반도체 국가산단의 지방 이전 주장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렇다 보니 용인시와 지역 정가는 물론, 경기도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용인반도체 국가산단은 글로벌 기술패권 전쟁에서 대한민국 반도체산업, 나아가 국가 경제의 명운이 걸린 사업”이라며 “지금이라도 행정기관과 정치권이 손을 잡고공동 대응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인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