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철수 국회의원의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기초자치단체장 및 기초의원 선거 무공천 및 신당창당을 최종 합의한데 따른 여파가 지역 정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
지역 새누리당 측은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의 합당에 따른 민심이동을 주시하면서도 기초선거 무공천 등에 대해서는 내심 반기는 분위기다. 오히려 중앙당 차원의 상향식 공천방향이 더욱 확고해지며 지역 내 인지도 상승을 위한 민심행보가 부쩍 늘어난 모습이다.
그러나 현재 민주당 소속 기초의원들과 예비정객, 새정치 연합으로 출마를 준비해 온 정객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무공천에 따른 기호배분 문제와 당 차원의 지원 등을 기대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 연합은 지난 7일 “제3지대 신당창당 후 민주당과 합당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에 따르면 새정치 가치가 중심이 되는 제3지대 신당을 만들고, 신당창당 즉시 신당을 중심으로 민주당과 합당하기로 했다. 정당법에 따른 ‘흡수합당’ 방식이다.
새정연과 민주당 합당방식 합의 소식과 함께 새누리당 지도부도 분주해지는 모습이다.
새누리당은 새정연과 민주당의 합당에 대해 비판과 함께 공천방식 개선 등 정치개혁 변화 모습연출에 고심하는 분위기다.
기초선거에 대한 공천제는 유지하되, 여론경선 등을 의무화하고 비례대표 등에 대한 여성 전략공천 확대 논의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소속으로 용인지역에서 기초선거를 준비해 온 정객들은 민주당과 새정연의 합당소식과 무공천 등을 반기고 있다.
우선 통합신당의 무공천 방침으로 인해 당내 전략공천 등에 대한 우려가 줄었고, 후보로 공천된 후 얻게 될 반사이익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선관위에 따르면 무공천이 실현될 경우 통합신당 소속 후보들은 제1야당인 민주당 정당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없다.
새누리당 소속 시의원 A씨는 “공천제가 유지 됐다면 2인선거구나 3인 선거구에서 최소한 1석 이상은 민주당에 내 줄 수밖에 없게 돼 당내 공천의 기호 싸움이 치열해졌을 것”이라며 “그러나 투표용지 상에 2번이 없게 될 경우 ‘1-가’, ‘1-나’에 유권자의 시선이 더 많이 갈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반면, 야당 소속으로 기초선거를 준비해 온 예비정객들은 “중앙정치권이 자신들의 실리를 위해 풀뿌리 정치인들을 내팽개쳤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소속 현 시의원 B씨는 “통합신당의 무공천 방침은 박근혜 대통령이 한나라당 당시 18대 총선에서 낙천된 인사들이 만든 ‘친박연대’를 측면 지원하며 ‘살아 돌아오라’고 한 것과 무엇이 다르냐”며 “이는 중앙정치권의 기득권 유지를 위해 당의 지지기반으로 지역에서 묵묵히 일해 온 당원들을 내 던진 것”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