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특히 해당직원의 성추행 사건이 발생한지 수개월 여가 지나도록 징계위원회를 열지 않고 있다가 최근, 또 다른 사건이 문제가 되자 기존 성추행 사건까지 병합해 처리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특히 해당 직원이 자신의 배경 등을 강조한 전례가 있어 외압 의혹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재단 측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에 따르면 문화재단은 지난달 27일 인사위원회를 열고 직원 성추행과 불친절 등이 문제가 된 행정 5급 A씨에 대해 감봉3개월의 경징계를 결정했다.
A씨가 성추행 사건에 따른 직원 품위손상과 시민에 대한 친절공정의 의무를 위반했다는 것.
그러나 A씨의 성추행 의혹사건은 발생한지 수개월여가 지난 것으로 확인돼 외압에 의해 징계를 늦춰온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시에 따르면 A씨는 지난 4월 경 직원들과 술 자리를 진행하며 성추행 의혹이 불거졌고, 최근 문화예술원 대관 문제와 관련, 예약된 대관시간을 초과한 사회단체 관계자들에게 욕설 등 폭언을 했다.
이후 해당사회단체에서 민원 등 문제를 제기하자, 재단 상임이사가 사과한 뒤 관련자 처벌을 약속했다.
문제는 문화재단 측이 A씨의 징계수위를 결정할 인사위원회를 열며 성추행 건을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수개월동안 진행하지 않았던 성추행 의혹 사건에 대한 징계절차가 갑자기 포함된 것.
재단 관계자는 “피해 여직원이 A씨에 대한 징계 등의 처벌은 원하지 않아 그동안 징계절차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A씨는 피해 여직원의 요청에 따라 재발방지 각서를 썼고, 성희롱 관련 교육도 다녀와 중징계 사안은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징계수위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개월 전 발생한 사건에 대한 징계절차를 미뤄오다 최근 불거진 사건과 병합해 징계처리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대답을 못했다.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며 공직사회는 “말도 안 되는 일이 시 산하기관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분위기다.
한 공직자는 “용인시 역사상 이렇게 문란할 때는 없었다”며 “사회적 문제인 성 관련 범죄예방 및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서라도 일벌백계했어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여성 공직자 김 아무개씨는 “성추행 관계자를 경징계 한 것은 매우 안 좋은 전례를 남긴 것”이라며 “만약 산하기관이 아닌 공직사회였다면 이 같은 처벌은 상상하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