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용인시 공무원노동조합(이하 노조)이 출범했다. 노조회원들은 인사 불만 및 일방적 복지포인트 삭감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시 집행부와 각을 세우겠다는 의지다.
그러나 공직사회는 이들의 입장과 달리 차분한 분위기다. 최근까지 노조설립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대두됐지만, 설립된 노조집행부 등에 대한 반발기류가 공직 전반에 퍼져있다는 설명이다.
노조는 지난달 30일 공무원 5명이 모인 가운데 창립총회를 열고 정식 출범했다.
노조는 “공직 내부에 깊숙히 곪아 있는 4가지 농을 거둬내고, 치유하는데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노조는 △특정 공무원집단의 주요 보직 순환적 독점 △올바른 예산집행 막는 외부압력 △과중한 업무부담 주는 조직구조 △의견수렴없는 일방적 의사 결정 등을 4가지 농으로 꼽았다.
노조측은 “현재 우리 용인시는 인사 파트 등 주요 보직에 있던 말단(7~9급) 직원도 연어처럼 해당 보직으로 회귀하는 구조”라며 “주요 보직을 특정인들만 차지하는 불합리한 인사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당한 지시나 압력에 타당성 검증이나 불요불급한 사안인지 검토도 없이 눈치보기식 예산 편성으로 구마다 착공만 해놓고 방치된 도로가 수두룩하다”며 “공무원이 공익을 위해 판단할 수 있도록 ‘보호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직사회는 노조 측의 주장은 공감한다는 분위기다. 그러나 노조 가입여부는 대부분 회의적인 모습이다.
공직자 최 아무개씨(행정·7급)는 “노조 설립자체에 대해서 잘못됐다거나 부정하는 여론은 없다”며 “그러나 노조설립을 위한 여론형성과정 등이 너무 없었고, 결국 다수 공직자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는 노조로 시작을 하게 돼 아쉽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직자 조 아무개씨(시설·7급)는 “당초 예상과 달리 출범한 노조에 대한 동료직원들의 평이 긍정적이지 못하다”며 “노조 스스로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조 지도부는 지난 8일 노동부에 노조설립신고서를 제출했으나, 서류미비 등의 이유로 반려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