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용인경전철의 26일 정상 개통을 위한 시의회 비공개 회의가 진행된 지난 19일 용인경전철 주민소송단 회원들이 '졸속 개통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
오는 26일로 확정된 용인경전철 개통을 두고, 지역 주민들 간의 갈등양상이 표면화 되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민민갈등 양상은 자칫 지역분열형태로 표출될 수 있어 시 차원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용인경전철 관련자를 상대로 1조원대 손해배상 청구를 위한 주민소송단 10여명은 지난 19일 용인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전철 개통 중단과 협상내용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오는 26일 경전철 개통을 위해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시의회 전체 회의에 앞서 “시가 1조원이 넘게 투입된 용인경전철을 신규 투자자에게 3000억 원의 헐값에 넘기는 졸속 개통을 추진하고 있다”며 “협상내용을 공개하고 대안이 없다면 졸속개통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소송단 측은 “시가 경전철 계약해지 후 새로운 투자자를 유치해 1조 5000억 원을 절약했다고 적극홍보했지만, 신규투자자로부터 조달한 3000억 원의 이자율은 4% 후반대”라며 “이는 국제중재 2차 판정 이자율(4.31%) 보다 높은 수치”라고 강조했다.
소송단은 이날 기자회견 직후 비공개로 진행중인 시의회 회의실 진입을 시도했고, 이를 막는 시 공직자들과 강한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 |
||
▲ 정상개통을 요구하는 동백지구 입주자협의회 회원들이 침묵시위를 하는모습 |
반면, 이날 비공개 회의장 입구에는 동백지역입자주협의회 회원 20여명이 ‘용인 경전철 조속 개통’을 주장하며 침묵시위를 벌였다.
이날 개통을 촉구하는 모임을 가진 동백지역입주자협의회 관계자는 “수년 전에 이미 운영이 됐어야할 경전철이 아직도 논란으로 인해 운영되지 못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개통 지연으로 인해 경전철이 지나가는 동백지역은 재산상 피해가 막심하기 때문에 조속히 개통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한쪽에서 경전철 개통을 반대하고 있지만, 대안도 없는 무조건적 반대가 무슨 명분이 있느냐”며 “현재 경전철 상황은 개통 후 활성화 만이 정답”이라고 말했다.
시의회와 지역정가는 경전철 문제에 따른 지역사회 갈등과 분열현상을 막을 시 차원의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전철 개통을 둘러싼 갈등이 동·서부권으로 나뉜 만큼, 이에 대한 해결책이 나와야 한다는 것.
한 시의원은 “표면적으로 나타난 갈등은 경전철 수혜지역과 비 수혜지역으로 비춰지지만, 이는 앞으로 동·서부권 갈등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높은 문제”라며 “경전철 진행상황 및 현재 상황에 대해 시민들에게 충분하고 납득할 수 있는 설명과 소통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