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용인신문| 특집/기획 국제뉴스 바로 읽기-7 트럼프의 관세전쟁은 미국의 구조적인 한계를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중국의 잠재력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관세전쟁의 승리자는 일단 중국이다. 중국은 정치체제가 안정되었고 공산당의 결정에 따라 국가역량을 선택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점은 분명 중국이 미국보다 비교 우위를 가지는 점이다. 중국은 구매력 기준으로 2014년 이미 미국을 추월했으며 머잖아 명목상 GDP에서도 미국을 앞지를 것이 확실하다. 중국의 제조업 생산력은 미국을 압도하였고 군사력 부문에서도 거의 근접했다. 미국은 중국을 상대로 무력시위를 할 수 없고 국제사회에서의 신뢰도 중국이 미국보다 우월한 지점에 있다. 미국이 정신 차리고 겸손한 자세로 전환한다면 미국은 상당한 기간 초강대국의 지위를 지킬 수 있다. 반면 글로벌리스트 네오콘의 패권전략을 변함없이 고수한다면 미국의 쇠퇴는 더욱 빨라질 것이 확실하다. 현재 미국은 마약을 빌미로 베네수엘라 마두로 정권의 전복을 꾀하고 있다. 미국은 베네수엘라의 정권 교체는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권 교체에 성공해도 미국이 세운 친미정권은 얼마 못 버티고 민중봉기로 전복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것이다. 이러한 시기
용인신문 | 이야기꾼 이꽃님이 지난 여름에 출간한 『여름을 한 입 베어물었더니』를 읽으면 지나간 겨울인데도 지난 여름의 열기가 전해지는 느낌이 든다. 이꽃님의 『죽이고 싶은 아이』가 소통이 단절되어 극단적이 되어가는 세태를 꼬집었다면 『여름을 한 입 베어물었더니』는 다시 소통하기 위해 우리가 거쳐야 하고, 알아야 하는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오. 미혼모였던 엄마를 지키려고 유도를 시작했지만 대장암은 엄마를 집어삼키려 하고, 얼굴도 모르던 아빠가 있는 정주로 가게 된다. 용서할 수 없었던 아빠는 하필이면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경찰이다. 또다른 주인공 은찬. 은찬이는 전교 1등이지만 몇 년 전 화재로 부모님을 모두 잃은 뒤로 모든 사람의 생각이 들린다. 그런데 은찬이 옆에 하지오가 나타나자 새로운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하필이면 선생님조차 간섭하지 않는 은찬이의 비싼 물건을 망가뜨린 지오. 물건값을 물어주자니 보기도 싫은 아빠에게 손을 벌리기 싫고, 수술을 앞둔 엄마에겐 더더욱 말할 수 없다. 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둘의 관계는 이새별 선배와 엮이며 더 복잡해지는데... 청소년소설이지만 대중에게 읽힐 만한 작품이다. 불통의 갈등이 심각한 요즘, 청소년
인형을 다루듯 정민기 사람들이 인형을 소중히 다루듯 장애인들의 마음을 읽어주고 똑같이 소중히 생각해주었음 좋겠다. 사랑하는 강아지를 다루듯 아끼는 인형을 다루듯 장애인을 생각해줬음 좋겠다. 사람들이 자신을 피하고 있다는 것을 장애인들은 느낀다. 장애인인 아빠가 준비물을 몰래 갖다 주는 것도 조심스러웠다는 걸 알아줬음 좋겠다. 정민기 1978년생(장애정도 : 중증) 2016년부터 시 창작 시작
용인신문 | 정자 수가 턱없이 적거나 무정자증 진단을 받은 남성들은 “호르몬 주사를 맞으면 정자가 다시 생길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경우에 따라 가능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어렵다고 봐야 한다. 정자 생산은 단순히 생식의 문제가 아니다. 호르몬, 뇌, 고환, 그리고 시간이라는 네 톱니가 정교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정자 생산의 출발점은 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다. 시상하부에서 GnRH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면, 뇌하수체가 이에 반응해 LH(황체형성호르몬)와 FSH(정자생산자극호르몬)를 방출한다. FSH는 여성에게서는 난포를 자극하지만, 남성에게서는 고환의 세르톨리 세포를 자극해 정자 생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정자가 만들어지지 않는 비폐쇄성 무정자증에서는 대개 FSH 수치가 높다. 뇌가 정자를 더 많이 만들라고 강하게 명령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 몸의 호르몬 체계가 ‘피드백’으로 조절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난자가 잘 자라면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 늘어나고, 정자가 잘 만들어지면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이 더 많이 분비된다. 따라서 FSH가 높다는 것은 정자 생산이 원활하지 않아 뇌가 더 많은 자극을 보내
용인신문 | 3500억 달러를 현찰로 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짜는 일단 막아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9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3개월여를 끌어온 관세 협상을 매듭지었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2000억 달러는 매년 200억 달러 한도 내에서 10년에 걸쳐 투자한다. 나머지 1500억 달러는 MASGA로 명명된 미국의 조선업에 우리가 주도권을 갖고 투자하는 한편 투자기업의 융자나 대출을 정부가 보증하는 방식으로 투자금을 마련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울며겨자먹기식이지만 미국의 깡패짓에 맞서 우리 정부가 선방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의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분통이 터진다. 언제까지 미국 앞에만 서면 한없이 작아지고 굴욕을 감내해야 하는지 실로 안타까운 심정이다. 경주 APEC은 트럼프의 관세전쟁이 극성을 부리는 가운데 열렸고 국민의 관심은 이재명 정부가 트럼프의 관세 압박에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에 쏠렸다. 결과는 이재명 대통령은 최선을 다했고 일단 소나기는 피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2029년 1월 20일 정오에 종료된다. 트럼프는 2028년 3선에 도전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으나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