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한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를 탔다. 할아버지가 몸이 안 좋으셔서 시간을 같이 보내려고 들어왔다. 지구 반대편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비행기 타고 하루면 도착하는 거리였다. 배를 타거나 차를 타고 오려면 몇 날 며칠이 걸렸겠지. 새삼 신기한 세상에 살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브라질의 코앞까지 갔다가 발길을 돌려야 해서 아쉬운 마음도 있었지만, 지금은 때가 아닌가보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다음에 남미에 오면 아마존, 브라질, 칠레와 아르헨티나에 가야지. 한국에 들어왔더니 따듯한 물이 콸콸 나오는 집과 따듯한 침대가 기다리고 있었다. 안락하고 편안하다. 같이 먹는 저녁과 공항까지 마중 나온 가족들이 소중하다. 곧 또 길을 나서겠지만 이 마음을 잊지 말아야지.
용인신문 | 많은 SF소설이 영화로 제작되고 있다. 『독쑤기미』라는 책도 그 대열에 서고 있으니 일단 흥미로운 소재라는 것은 입증된 셈일까? 절망적 미래, 유전자조작, 개발의 이면 등이 다른 매체에서 많이 접한 문제의식이지만 캐릭터와 소재, 주제를 향한 작가의 태도 등이 흥미로운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배경에서 음식은 일부 계층만이 자연 그대로의 맛을 즐긴다. 주요인물 핼야드는 음식 때문에 재산을 탕진하고, 회사 공금까지 횡령한다. 그는 회사가 가진 “멸종 크래딧”을 유용해 차익을 자신이 차지했다. 멸종 크레딧은 기업이 자연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있어나는 생태계 파괴에 대비해 구매하는 한 생물을 멸종시킬 수 있는 권리이다. 멸종된 생물은 언제든 데이터 뱅크에 보관된 유전자로 복구할 수 있기 때문에 멸종 크레딧 비용은 일종의 멸종 허가증처럼 통용되었다. 핼야드를 곤경에 빠트린 것은 청소물고기 독쑤기미였다. 이 작품은 핼야드가 폭등한 독쑤기미의 멸종 크레딧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다른 주인공 카린과 함께 물고기를 찾아나선다는 설정이면서 인류의 암담한 미래를 보여주는 블랙코미디적 작품이기도 하다. 핼야드의 세계에서는 목적을 위해 언제든 유전자조작을 하고, 생태에
전등 조경호 나는 전등이 되고 싶다 같이 다닐 수 있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사고로부터 지켜주고 매일 전등이 되어 편안하게 운전하도록 전등이 되고 싶다 아빠 차의 전등 조경호 1991년생(장애정도 : 중증) 2015년도부터 시 창작 시작
용인신문 |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덩샤오핑>. 중국 정부가 희토류를 무기화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은 중국이 절대적으로 우세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도대체 희토류가 무엇이길래 미국이 중국에 절절매게 되는 상황에 처했을까? 희토류(稀土流)는 현재까지 발견된 118개의 원소 중 주기율표의 17개 화학원소의 통칭이다. 희토류는 흙 또는 광석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도 희토류가 풍부하게 포함된 지표는 많다. 하지만 희토류 원소는 지구화학적 성질로 인해 경제성 있는 농축된 형태로는 거의 산출되지 않는다. 즉 철광석, 금광석과 같은 형태로는 산출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희토류는 말 그대로 희귀한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흙이라는 뜻이다. 문제는 희토류에 포함된 원소를 추출하여 분리하려면 고도의 제련(製鍊)과 정련(精鍊)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이다. 희토류는 반도체, 항공기 부품 등 다양한 소재로 사용된다. 중국은 현재 전 세계 희토류의 92%를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중국의 내몽골자치구, 장시성(江蘇省)이 중국의 대표적인 희토류 산지다. 중국 정부는 덩샤오핑(鄧小平) 시절부터 환경오염을 무릅쓰고 희토류 개발을 전략산업으로
용인신문 | 권성동 의원이 수감되었다는 소식에 당사자는 억울함을 토로할지 모르나, 이를 자업자득이라 여기며 통쾌해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그의 수감은 어떤 면에서 그가 보여준 ‘의리’의 결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가 주군으로 모시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먼저 옥고를 치르고 있으니, 그의 오른팔을 자처하던 이가 그 뒤를 따르는 것이 어쩌면 그들 세계의 논리일지 모른다.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속담은 익숙하지만, ‘친구 따라 감옥 간다’는 말은 실로 생소하다. 검사들이 흔히 쓰는 ‘피의자(被疑者)’라는 말이 있다. 범죄 혐의로 의심받아 수사의 대상이 된 사람이란 뜻이다. 평생을 권력의 정점에서 남을 단죄해왔을 그들에게 피의자라는 신분은 상상조차 못 할 일이었을 것이다. 어제의 준엄했던 칼날이 오늘의 자신을 겨누는 형국이니, 역사의 심판은 이토록 무서운 것이다. 하지만 세상의 업보(業報)는 피해 갈 수 없었던 모양인지, 결국 두 사람 모두 나란히 감옥행 열차에 오르는 신세가 되었다. 그들의 시작은 미약했으나 그 끝은 실로 ‘창대’했다. 한밤중에 벌겋게 상기된 얼굴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모습은 그야말로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격이었다. 고교 선후배 몇몇이 모여 꾸
용인신문 |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은 지방의회다. 지방의회는 시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호흡하며, 지역 행정 권력을 감시하고 견제한다.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미래를 설계하는 민주주의의 최전선이다. 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은 시민의 선택을 통해 막중한 권한을 위임받은 대의민주주의의 핵심 주체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권력을 위임한 것이니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해야 할 무거운 책무를 지닌 것이다. 하지만 제9대 용인특례시의회의 모습은 어떠한가. 그 본질적 역할과는 심각한 괴리를 보이며 시민들의 마음에 큰 상처를 주었다. 본지를 통해 연이어 보도된 의회의 현주소는 실망을 넘어 참담함마저 느끼게 한다. 의원들의 성희롱 파문과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논란, 의장단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금품 수수 의혹 등은 의회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윤리적 기강마저 무너져 내렸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몇몇 의원의 개인적 일탈로 치부할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제대로 된 자정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의회 전체에 구조적인 문제가 만연해 있음을 방증한다. 여기에 시민 여론을 외면한 채 의원 개인의 편의를 위해 추진되는 청사 증축 문제는, 의회가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