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군 순서는 등록 외국인수를 포함,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인구에 따라 5년마다 수정 발표한다.
개정 규정에 따르면 31개 시·군 중 19개 시·군의 서열이 바뀌었다. 1위는 인구 114만7955명인 수원으로 수부도시로서 부동의 선두를 지켰다. 2위와 3위는 100만 명 돌파를 눈앞에 둔 성남시(99만4271명)와 고양시(98만1220명)로 5년 전 서열과 변동이 없었다.
용인시(93만58명)가 부천시(88만5949명)를 제치고 4위로 올라섰으며, 화성시(55만649명)는 5년 동안 인구가 18만 명 가량 급증하면서 순위가 9위로 뛰었다.
반면 경기북부 행정중심도시인 의정부시(43만2760명)는 인구가 1만1000여명 느는데 그쳐 9위에서 11위로 내려앉았다. 구리시(19만3745명) 역시 갈매동 보금자리주택 건립에 따른 주민이주로 2000여명이 줄며 19위에서 21위로 떨어졌다.
과천시(7만1378명), 가평군(6만1788명), 연천군(4만6328명)은 5년 전과 같이 나란히 29∼31위를 차지해 변동이 없었다.
시·군 순서는 법적인 의미는 없으나 시장·군수 회의 때 좌석배치나 각종 현황, 통계표 작성에 쓰이는 등 자치단체의 위상과 직결된다.
도는 시·군의 인구 증감이 빠르게 변동되는 데다 시·군 요청이 잇따라 앞으로 시·군 순서 조정 시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