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분당선 연장선 2공구 공사현장에서 정화시설 오작동으로 수백톤의 폐수가 정평천에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건설업체 측은 과실을 시인하며 사태 수습에 나선 반면, 시 공직사회는 상급자에게 보고조차 제때 하지 않아 논란을 자초했다. 사진은 사고가 발생한 신분당선 2공구 현장 모습. |
용인시 공직사회의 허술한 보고체계가 또 다시 구설에 올랐다. 지하철 공사장에서 발생한 폐수 수 백톤이 3~4일 간 하천에 그대로 유입됐음에도, 상급자에게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
뿐만 아니라 해당 건설업체 측이 과실을 인정했음에도 담당 공직자는 오히려 ‘증거가 없다’며 해당 업체를 옹호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다.
이에 따라 최근 6개월간 이어진 잦은 인사와 다가올 조직개편을 앞두고 공직기강이 느슨해 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지난 4일 수지구 산업환경과는 정평천에 폐수가 유입되고 있다는 민원을 받고 현장을 방문했다. 현장은 오수관을 통해 배출된 폐수가 400m 이상 길게 퍼져있었다.
조사결과 폐수는 대우건설이 시공중인 신분당선 연장선 2공구 구간에서 배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업체 측은 폐수 정화시설이 오작동하며 폐수가 그대로 오수관을 통해 흘러간 것이라고 해명했다. 구청 측은 시료채취 및 현장조사를 마친 뒤 해당 내용을 시 환경과에 통보했다.
그러나 환경과 담당부서 측은 이를 상부에 보고하지 않았다. 구청에서 채취한 시료를 경기도 보건환경 연구원에 성분분석 의뢰했고, 결과가 나온 후 보고하려 했다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부서 관계자는 “(대우건설이라는)물증도 없고, 해당 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취재를 자제해 달라”고 말했다.
문제가 불거지자 환경과 측은 “성분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업체를 고발할 계획”이라며 “진행 중인 많은 업무로 인해 사건발생보고 등을 미처 챙기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직사회 내부에서는 대규모 조직개편 등을 앞두고 공직기강이 느슨해져 나타난 문제라는 목소리다.
사무관 A씨는 “언제부터인지 시 공직사회 보고체계 등이 허술해지고 있다”며 “대규모 인사전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일수도 있지만,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후속조치가 없어 오히려 만연해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실제 시 공직사회는 지난해 말 지역의 한 어린이집에서 20여명의 어린이가 잠복결핵에 감염됐음에도 이를 제때 보고하지 않아 구설에 오른 바 있다.
시의회 이우현 의장은 “보고체계 등 공직기강 문제는 담당 실무관이나 팀장의 잘못이라기 보다 관리감독을 해야 할 부서장이나 국장의 책임이 더 크다고 본다”며 “공직 전반의 분위기를 이끌어가야 할 고위 공직자들이 되돌아 봐야할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