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5 (토)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사라져야 할 선거철새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역정가가 총선정국으로 접어들었다. 용인지역 이번 총선의 경우 한나라당 특수와 신흥 선거구로 인해 예전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정객들이 출마준비를 서두르는 모습이다.

선배 기자들에 따르면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중반까지, 선거철 지역경제는 그야말로 호황이었다고 한다.

특히 출마하는 후보가 많을수록 음식점을 비롯한 지역의 상권은 명절을 방불케 할 정도로 북적였다는 설명이다. 즉, 그만큼 많은 불법 선거자금이 지역에 뿌려졌다는 것이다.

취재 중 만난 지역의 어르신들도 이와 같은 회고를 하곤 한다. 화수분 같은 선거자금을 보고 선거판에 뛰어든 사람들도 낳았다는 증언이다. 이른바 선거꾼 또는 선거 브로커로 통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돈이 많은 후보들에게 모두 찾아가 각자의 지역에서 자신의 영향력 등을 과시하며 공공연하게 선거자금을 요구했고, 표에 목마른 후보들은 이들에게 선거자금 명목으로 많은 돈을 건넸다.

물론 이렇게 여러 후보에게서 건네진 돈은 대부분 브로커의 몫으로 돌아갔고, 누가 당선되든 브로커들은 “자신이 열심히 운동한 덕”이라며 이른바 당선 사례금을 받았다고 한다.

물론 이제는 과거가 된 이야기다. 강화된 선거법으로 예전 선거처럼 많은 돈을 쓸 수도 없는 상황이고, 후보자 입장에서 특정인을 믿고 돈을 건네기도 두려운 세상인 것이다.

하지만 어느 시대, 어느 상황이건 비좁은 틈을 이용하는 부류들이 있다.

기자는 지난 2006년 지방선거와 대선을 직접 지켜봤다. 당시 각 정당별, 혹은 선거구별 후보들과 이들의 사무실을 취재하며 많은 사람을 만났다.

그 중 각각 상대후보임에도 양 측 모두를 오가며 측근 역할을 하는 인물들을 여럿 보았다.

이들은 각 후보를 도와 당선시키는 일은 어렵지만 방해하는 일은 수훨 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후보들에게 접근해 있었다.

이들에게 직접적으로 대가가 건네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 보기 좋은 광경은 아니었다.

용인지역에 다시 선거 바람이 불고 있다.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후보들의 사무실에서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보았던 인물들을 다시 마주치는 상황이 잦아진다.

이들의 순수성에 대한 생각보다는 자칫 혼탁해질 수 있는 선거에 대한 우려가 앞선다.

공명선거 깨끗한 선거가 화두가 된 지 오래다. 그럼에도 여전히 선거 브로커로 일컬어지는 인물들이 활보하는 세상이다. 깨끗한 선거를 위해서는 후보들 스스로 이들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는 마음부터 키워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