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천천히 걷고 천천히 생각한다. ‘일단 멈춤’. 고등학교 때 선생님이 곤란한 상황에 대해서 일단 멈추라는 이야기를 해주셨다. 판단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일단 멈추고 생각을 유보하거나 다음으로 미뤄두면 그 사이에 상황이 바뀌곤 했다. 요즘 생각이 많았다. 계속 생각해 봐도 답은 나오지 않아서 그냥 걷기로 했다. 오늘은 라 호야에 예쁜집들을 보러 왔다. 친구에게 빌린 자전거를 타고 20여 분. 다양한 모습으로 꾸며진 집들은 한국과는 꽤나 다르다. 자전거를 타고 구석구석 모르는 길을 탐험하다 예쁜 집이 보이면 멈춰서서 사진을 찍는다. 해변 바로 옆에 위치하는 부촌이다. 여기엔 누가 살까? 언제 이 집을 샀을까? 직접 디자인해서 지은 걸까? 다양한 집의 모양과 색깔에 궁금한 것이 많아진다. 샌프란시스코의 해변은 길고 길다. 끝없이 이어진 해변을 따라 다양한 가게와 집들이 위치한다. 그중에 가장 마음에 들었던 집. <포세이돈 길>이라는 이름답게 파도가 가득 치는 방파제 근처의 집이었다. 가지각색의 모양을 하고 있는 집들 사이를 걸으면서 쉬는 시간을 가졌다. 부디 이 쉬는 시간 이후에 좋은 답이 나오기를.
용인신문 | 기흥구 구성동과 마북동, 보정동 및 수지구 죽전동으로 이어지는 탄천 일대를 공원화하기 위한 시민모임이 발족했다. 이 시민모임은 시민들이 직접 나서 탄천 일대를 5개 구역으로 나눠 특색있는 공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용인 탄천시민공원 추진위원회(회장 윤상수)’는 지난달 21일 시청 컨벤션홀에서 공식 출범했다. 추진위원회는 탄천을 시의 상징적이고 차별화된 랜드마크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자는 뜻을 모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임이다. 이날 창단식에는 이상일 용인시장과 이창식 용인시의회 부의장을 비롯해 용인시 유관 단체 회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탄천시민공원 추진위원회는 플랫폼시티와 연계해 시 북서부 지역 중심하천인 탄천 15.68km 구간을 5개로 나눠 각 구간을 각기 다른 콘셉트를 가진 시민 친화 공원으로 조성해, 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만들도록 힘을 보태려는 시민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앞으로 탄천 일원 시민 친화 공간 조성, 시민과 함께하는 행사 개최, 생물다양성 체험 제공, 하천 정화 활동 등을 자발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시장은 이날 축사에서 “발족 단계에서 이렇게 지혜로운 청사진이 제시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라고 생각한다”며
용인신문 | 수지구 죽전동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게소에 있는 용인시 로컬푸드 행복장터가 전국 최초의 플라워 카페 형태로 새롭게 단장했다. 지난달 23일 시에 따르면 로컬푸드 행복장터는 지역 특산품을 파는 매장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방향 죽전휴게소에 마련했다. 시는 낡은 시설을 정비하고, 장시간 운전으로 피로가 쌓인 방문객이 아늑한 공간에서 편하게 쉬도록 플라워 카페 형태의 로컬푸드와 화훼 테마 공간으로 꾸몄다. 또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신선한 농산품을 좋아하는 소비자와 판로를 개척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연결한다. 이곳에서는 용인지역 대표 특산품인 백옥쌀과 잡곡, 오미자청, 꿀, 참기름, 들기름, 건표고버섯 같은 로컬푸드를 판매 중이고, 화훼 품목인 분화류(다육식물 포함)도 싼값에 판다. 시는 지역경제를 활성하고 농가 소득을 높이려고 지난 2017년 10월 26일부터 죽전휴게소에 로컬푸드 행복장터를 마련해 민간에 위탁·운영 중이다. 시 관계자는 “고객 편의를 높이도록 끊임 없이 매장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 입점하는 농가와 품목을 발굴해 서비스를 향상하겠다”고 전했다. 화훼 테마형 공간으로 새단장을 마친 죽전휴게소 내 용인시 로컬푸드 행복장터 모습.
용인신문 | 기초연금이 올해 1월부터 전년도 소비자물가변동률(2.3%)을 반영, 단독가구는 월 최대 34만 2510원, 부부가구는 월 최대 54만 800원으로 인상된다. 아울러 2025년도 기초연금 수급자가 65세 이상 인구의 70% 수준이 되도록 소득·재산 수준, 생활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 보건복지부 장관이 확정, 고시하는 선정기준액은 전년 대비 각각 15만 원, 24만 원 인상됐다. 따라서 올해 1월부터 월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이 단독가구는 228만 원 이하, 부부가구는 364만 8000원 이하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일하는 어르신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초연금 수급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올해 인상된 최저임금을 반영해 근로소득 공제액을 112만 원으로 상향했다. 기초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청해야 하며 올해는 만 65세에 도달한 1960년생 어르신들이 신규 신청 대상이다.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시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국민연금공단 지사나, 전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거동 불편자는 지사(1355)로 ‘찾아뵙는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복지로(
단국대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고 있다. 용인신문 | 단국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센터장 민동원)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주관하는 ‘2024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및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 3년차 성과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사업은 대학 내 진로·취업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재학생과 지역 청년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 교육과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전국 121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은 53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단국대학교는 지난 2022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사업(거점형)’을 시작으로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사업’,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사업’,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시범사업’ 에 연이어 선정되며 수도권 청년고용지원사업 핵심 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업을 통해 지역 청소년 대상 원스톱 청년 진로·취업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교과목과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연계해 진로설계 및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운영성과 평가는 원스톱 취업지원인프라 구축·활용, 취업상담 및 취업프로그램 운영, 기업발굴·매칭 등 취업지원 강화, 졸업생 취업지원
창대태권도 오영묵 관장(맨 왼쪽)과 관원들이 직접 복지관에 방문해 후원품을 전달했다 용인신문 | 창대태권도 오영묵 관장과 관원 10명은 지난 20일 용인시처인노인복지관(관장 김기태)을 방문해 관원 50여 명이 십시일반으로 용돈을 모아 마련한 라면 36박스(720개)를 후원하며 따뜻한 마음을 전했다. 이날 참여한 한 관원은 “우리가 모은 용돈으로 할머니, 할아버지께 도움이 될 수 있어서 마음이 뿌듯해요.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요”라고 전했다. 후원품은 복지관 직원들이 취약계층 어르신 및 결식우려가 있는 어르신들께 전달할 예정이다. 김기태 관장은 “아이들이 한 푼 한 푼 모은 용돈으로 마련한 라면으로 무엇보다 값진 나눔이라고 생각된다. 라면은 아이들의 따뜻한 마음과 함께 전달할 것이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의 나눔과 협력을 통해 취약계층 어르신 지원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창대태권도는 지난 2016년부터 정기적으로 복지관 취약계층 어르신들을 위해 지속적인 후원 나눔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