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경기도 내 노선버스의 95%가 명절 연휴 직전인 다음달 1일부터 멈출 위기에 처했다. 경기지역 47개 버스업체가 속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진행한 쟁위행위 찬반투표 결과 97.9%가 파업에 찬성한 것.
파업이 현실화 되면 용인지역 내 47개 광역버스 노선과 민영제 노선 5곳을 제외한 준공영제 시내버스 92개 노선이 모두 멈추게 된다.
따라서 오는 30일까지로 예정된 노사 간 최종 협상이 결렬될 경우 교통대란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협의회는 지난 23일 31개 시·군 50개 버스업체 조합원 1만 9384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전체 조합원의 90.6%인 1만 7576명이 참여한 투표 결과 1만 7207명(97.9%)이 찬성했다.
협의회는 파업 돌입까지 두 차례 경기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 노동쟁의 조정 회의만을 남기게 됐다. 이날 오후 열린 1차 조정 회의는 노조와 사측 간의 이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협의회는 30일 열리는 지노위 최종 조정회의에서 노사 간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바로 다음날인 10월 1일을 기해 총파업을 단행할 방침이다.
협의회는 4월부터 7차례에 걸쳐 2025년도 민영제노선과 준공영제 노선의 임금 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합의에 실패, 지난 15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서를 접수했다.
협의회 측은 민영노선의 장시간 운전 철폐를 위한 탄력근로제 중지, 준공영제인 공공관리제와 동일한 임금, 1일 2교대 및 주5일제 시행 등을 요구하고 있다.
민영제 노선에서 시행 중인 탄력적근로시간제가 하루 17시간 장시간 노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준공영제 노선의 경우, 통상임금 대법원 판결을 적용한 올해 서울버스 임금 인상 요구율(8.2%)에 준하는 임금 인상률을 제시하고 있다.
협의회는 또 2027년까지 공공관리제를 전체 노선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한 노사정 합의를 경기도가 반드시 이행하기로 확약해 달라는 것과 내년 1월 1일부터 공공관리 노선의 임금을 서울버스와 동일하게 맞추기로 한 노사정 합의 사항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민영제 노선 탄력적 근로시간제 유지와 임금 동결을 주장하고 있다. 노사 입장차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셈이다.
협의회 관계자는 “지난 5월부터 이달 1일까지 7차례에 걸쳐 임금교섭을 진행했으나 끝내 합의에 실패했다”며 “버스 현장의 차별과 불평등을 끝내고 도민이 안전한 버스를 만들려는 버스노동자들의 목소리가 압도적인 파업 찬성 결과로 분출된 것”이라고 말했다.
△ 용인시, 비상 수송대책 ‘마련’
용인시는 교통대란을 최소화 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는 모습이다. 오는 30일까지로 예정된 조정 일정 중 협의회와 사측 간 대응에 집중하면서, 전세버스 투입 등 교통 불편을 최소화를 위한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시 측은 우선 이용객이 많은 주요 노선에 운행 횟수를 늘리는 등 버스 노선을 조정하고, 전세버스를 이용해 출퇴근 시간대에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또 시민들의 이동이 많은 주요 거점 지역에 전세버스 및 비상 수송 차량을 긴급 투입해 경전철 및 지하철 역과 연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파업이 철회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오는 1일부터 총 파업을 예고했다. 파업이 현실화 될 경우 용인지역을 운행하는 모든 광역버스와 시내버스 95%가 운행을 멈추게 되는 증 교통대란이 우려된다. 사진은 용인시 처인구와 서울을 오가는 광역콜버스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