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처인구 원삼면에 건설 중인 SK하이닉스 반도체클러스터 첫 팹 건축과 관련, 공사에 따른 직접적인 지역경제 낙수 규모가 4500억 원으로 책정됐다. SK 측이 공사 자재와 장비 등 지역 자원 활용에 이 같은 규모의 비용을 쏟아붓기로 한 것.
SK측이 내년초 착공 예정인 반도체 생산 라인은 경우 총 4개의 팹 중 1개의 50%에 불과한 것으로, 4개의 팹이 모두 건설될 경우 약 4조 원 가량의 직접적인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다.
용인시는 지난 12일 내년 3월 시작되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SK하이닉스 첫 번째 생산라인(Fab) 건축 공사 때 4500억 원 규모의 용인지역 자원이 사용된다고 밝혔다.
SK 측은 지난 2월 이상일 용인시장과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이 맺은 업무협약에 따른 후속조치로 이 같은 계획을 최근 시에 제출했다.
협약에서 시는 팹(Fab) 착공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건축허가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SK하이닉스는 건설 공사 때 지역업체의 자재나 장비를 우선 사용하고, 관내 인력을 우선 채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기로 했다.
시는 그동안 팹 건축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와 내년 3월 착공 이후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협의해 왔다.
시공사 측은 반도체 공정시설을 구축해야 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분야를 제외한 레미콘, 골재, 아스콘 등 건설공사 기본자재는 지역업체에 우선 배정하기로 했다.
SK 측은 생산공장을 적기에 완공하고 공사 품질을 높이는 데 방점이 있는 만큼 지역업체와 계약할 때 매출이나 시공능력평가액, 재무 건전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우수업체는 지속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시공사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첫 번째 팹은 2027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내년 3월부터 약 2년간 건축 공사에 들어간다.
용인시는 이 기간 투입되는 공사 참여자가 연인원 3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며 지역경제에는 큰 활기가 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근로자 식사비, 숙박비가 풀리며 지역상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공사에 참여하길 원하는 지역업체가 시공사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시공사 현장사무실에 전담 민원창구를 개설해 운영할 방침이다.
이 시장은 “그동안에도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부지조성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시공사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지역의 장비, 자재, 인력의 자원을 활용토록 했다”며 “올해 12월 현재까지 2500억 원 규모의 지역 자원이 활용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 반도체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진행 중인 처인구 원삼면 일대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