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가리, 직지심경 김은순 미호천 쏘가리 힘차게 물결 가르면 봄이, 온 거다 그 물결소리 흥덕사 앞마당 연못까지 흘러 직지를 짓는다 양병산 정자나무는 제 그늘로 연못을 파고 있었던 게다 정자나무 뿌리는 저 미호천 깊은 곳까지 연결된 수로이자 산소 구멍이다 물고기도 가끔씩 흙의 제 기원을 찾고자 경계 넘어 흥덕사의 기억을 더듬으며 알아볼 수 없는 필체로 책을 엮는다 알알이 차오르는 자음과 모음을 찍어 본다 쏘가리는 무슨 글자를 자꾸 쓰면서 헤엄쳐 온다 몸에서 빠져나간 쏘가리 알들이 “백운화상 초록불조 직지심체요절”을 봉독하며 직지상권 토하는 날까지 끊임없이 불공을 드린다 지느러미 후다닥후다닥 물방울 올 엮듯이 흥덕사 그늘 연못에 금속활자 금형을 뜨고 있다 약력 대전광역시출생 제6회 남구만 신인문학상 당선 경북일보 문학대전 대상외 다수
마네킹 정사강 먹지 않아도 배 고프지 않았어 환상적인 몸매니까 팔을 뺐다 끼우는 아픔 참을 수 있었어 옷은 나의 생명이니까 옷이 없을 땐 슬펐어 누추할 땐 부끄러웠어 옷은 곧 나였으니까 옷이 많아질수록 기뻤어 눈길 받을 때마다 폼났으니까 그런데 변하는 건 겉모습 뿐이더군 용인문학회 회원 저서, 수필집 <뭐하나 안자고>
파도 장봉숙 울음은 밤새 이어졌다 뒤채며 몸부림치는 저것은 슬픔의 결이었다. 제 몸 부수며 울부짖는 포효 골수에 맺힌 응어리를 바위에 짓이기는 저걸 자해라 하겠다 생을 부수며 살 점 흩어지는 물의 살기가 거세게 휘몰아치면 죽음의 갈기를 막아보려 방어벽 물매를 맞는다 등대는 핏발선 눈을 부릅뜨고 외마디 소리를 질러보지만 멍투성이 바다는 검푸른 슬픔을 결결이 주름 접으며 엎었다 뒤집으며 너울을 쓰고 밀어대며 호곡하는 것이다 용인문학회원 원목 동인회 시집 : 서러운 것에서는 쇳소리가 난다 바닥을 치고 솟아. 오르는 생 수필: 하늘 길은 아득하고 나는 홀로 서럽고
축제는 끝이 나고 - 허수아비 이 동 백 끝과 끝이 마주한 갈림길에서 허옇게 삭아내린 뼈마디로 기울어진 하늘을 떠받치고 서 있는가 이 지상의 축제는 끝이 나고 이제는 다들 발걸음을 돌리는 시간 길 잃은 갈가마귀 몇이 마지막 타오르는 노을빛을 쪼고 있다 먹장구름 속 천둥이 울고 바람빛이 몇 번이나 바뀌었던가 그 남루하기만 했던 옷을 걸치고 하냥 돌이킬 수 없는 그리움에 붉은 눈시울을 하고선 머언 하늘 가를 바라다본다 빈 바람이 들녘을 휩쓸어 지나가고 어느덧 어둠이 깃을 접으면 외발로 그대는 지평선 너머로 걸어가고 있다 약력: 나주 출생. 광주일보,경인일보 신춘문예 동화 등단. 공무원 문예대전 시부문 동상 수상. 용인문학회 회원.
뒤늦은 신경숙 혀꽃은 기침을 숨겨놓고 핀 여자의 허파다 중양절(重陽節)에 꺽어야 할 구절초 10월에 만났다 대숲에 흉터를 남기고 간 이름들 안녕한지 수선하게 흔들어 놓고 바람은 지나가는 거지 정해진 답이 없이 흐린 발자국을 데리고 대숲을 빠져나가다 갇힌 안개, 추령천에 몸을 씻는다 눈에 밟혀 시들해진 구절초 꽃들이 모인 능선 만지작거리다 놓고 나온 파장한 판매대의 야채처럼 축제가 끝난 현수막처럼 시들하고 스산하다 발목을 붙잡는 스피커에서 몸의 수식어를 해독하며 찾아내는 가을 사랑 그 계절, 바람을 건너가면 도착하지 못한 날이 기다리지 갤러리에 갇힌 구절초 열었다 닫는다 패턴을 그리면 다시 피어나는 구절초 아쉬움의 순간은 화심(花心)에 꽂아두고 왔다 신경숙 당진 출생. 2002년 『지구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비처럼 내리고 싶다』 『남자의 방』이 있다. 제 17회 서울시인상을 수상했고, 2014년 수원문화재단 창작지원금 수혜. 용인문학회 회원, 시나모 동인
꿈이었기를 오수환 하얀 꽃들의 무덤은 바람이 바람을 만나듯 세상을 휘돌아 말 없이 커져가는데 피어나던 꽃들을 대신하여 그렇게 이름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들은 후 볼 때마다 이름이 떠오르는 것은 그대로 꿈이었기를 내 마음 물방울은 수억개쯤 모여야 할 거야 한이 많을 때는 얼음 알갱이로 모일거야 바람 위에 올라 위로 위로 땅을 떠나다 보면 하나씩 잊혀질 거야 참다 참다 그렇게 눈물로 쏟아내다가 마른하늘에 날벼락은 덤으로 올지도 몰라 무겁고 절절한 폭풍은 저 깊은 어디에선가 이를 악물고 흐느끼면서 바다 깊이 쌓는지도 모르지 새털로 나는 하늘에 두루마리로 펼치는 세상에 내 맘대로 흩어지더라도 다시 돌아올 양떼를 찾는 양치기 말할 수 없는 위로를 입 안으로만 웅얼거리며 이름은 끝내 이 세상 소리에 떠밀리고 돌아오지 않고 -10.29.를 기억하다가 약력 - 변호사 -용인문학회 회원
참꽃 박홍재 봄물을 해산하는 강은 어제오늘 삭신이 풀렸다 고추바람을 버틴 가지들은 초록의 등잔 위에 꽃불을 놓는다 바람을 잡아먹고 바람에 쫓기다 산에서 산까지 몰려다니다 배를 묻은 텅 빈 눈은 허기의 그릇에 잠긴다 꽃살문을 사이에 두고 꽃산에 든 누이 산그림자 짙어 오면 참꽃잎 부서져 내리는 누워 있는 누워 있는 꽃 비린내 꽃 빛에 비치는 무덤의 내음 눈썹달 흰 발자국이 참꽃 짓무른 입술을 핥고 간다 참꽃잎 따 담아두던 빈 곽의 향내를 쫓는다 ------------------------------------------------- 박홍재 제5회 남구만신인문학상 제2회 여순평화인권문학상 시 우수상
공복 최은진 속이 텅 빈 순간에 알았다 하루가 이 삶보다 더 길다는 걸 쓰레기통에서 건져 올린 짜투리 얌의 황홀한 맛이 침묵으로 가는 길 열어줘 부끄러움을 잊게 했다 갓난아이의 자지러지는 울음을 마른 손으로 쓸어내리며 네 허기는 신선해서 아직 촉촉하구나 갓 태어난 공복 앞에서 알았다 이 삶이 너무 길다는 걸 실컷 울고 나면 더 허기가 졌다 폭식 후 밀려오는 헛헛함처럼 울음조차 아껴 먹어야 했다 눈물에도 맛이 있단 건 비밀이 되었다 공복이 길어질수록 뱃 속 어둠은 깊어졌다 약력: <서정시학>2019년 등단 용인문학회 회원
만조 송용탁 매일 억수비가 내렸다 빗물을 받는 작은 두 손 바다를 넘치게 할거야 수면의 눈금이 흔들렸다 홀로 남은 아버지의 고무장화는 치매처럼 깜깜하고 여전히 벗기 힘들었다 발목이 잡힌 것처럼, 바다의 모든 소리가 집으로 향한다 - 쉬, 아버지가 밀물처럼 밀항 중이라니까 나는 맞이 해야 한다 삼가 양손을 대고 싶다 붉은 물 냄새가 마당 가득 자작할 때 연체된 슬픔으로 나의 부채가 구겨진다 누구의 밑을 닦아야 하나 누구의 밑이어야 하나 끔찍하도록 먼바다 질투하기도 하였는데 <송용탁> 용인문학회 회원 2022 작은시집 [섹스를 하다 딴생각을 했어] (리디북스) 2020 제3회 남구만신인문학상 2021 518문학상 신인상 2023 심훈문학상
가을의 각도 정연희 산수책 손에 쥔 적 없는 어머니는 숫자나 도형의 각도는 모르지만 가을의 각도는 달달 외운다 뒤로 젖힌 목 15도와 125도로 굽혀야 하는 허리 따거나 찾을 수 있는 각도에 익숙하다 벌어진 각도를 벗어난 작은 산밤을 금세 한 움큼 찾아낸다 알밤 두세 개 주워 들고 좋아하던 유년의 나만큼 작아진 어머니 동그랗게 키를 말고 푸른빛 설가신 질경이 잎 사이사이를 더듬고 있다 도둑 풀 사이에서도 하나 개미취나물 사이에서도 하나, 가을보다 먼저 노랗게 변해버린 이름 모를 풀숲을 빼놓지 않고 곁을 트며 가신다 벌써, 밤묵 내놓으실 생각에 이마의 주름이 출렁댄다 자식들 얼레던 오래된 기울기와 무량대수로 쏟았던 모정의 숫자에 앞산이 벌겋게 타오르고 어머니는 지금 작아진 엉덩이로 파랗게 질린 하늘을 떠받치고 있다 정연희 약력 전남 보성 출생 2017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귀촌」 당선 2017년 <농민신문> 신춘문예 「잔등노을」당선 2017년 경기문화재단 창작기금 2023년 용인문화재단 출간기금 용인문학회 회원, 동서문학상 수상자 모임 회원
유리의 시간 박진형 단단해 보이지만 폐허를 품고 산다 살갗은 빙벽처럼 서서히 녹고 있는데 문제는 속도라던가 고요로 버틴다 무엇이 진짜일까 불안을 감출뿐 내가 나를 잊은 채 한없이 가벼워질 때 환상이 만들어낸다 오늘만은 믿는다 들키지 않는 감촉보다 숨결을 더 믿는 나 내 몸에 잠긴 시간 아슬하게 끌어당겨 나라는 투명한 세계 끊임없이 바꾼다 [프로필] 2016년 계간 시에로 등단. 2019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 용인문화재단 문화예술공모지원사업 선정(2022),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지원사업 선정(2022). 시조집 『어디까지 희망입니까』.
종이컵 양석 나의 DNA는 나무 조직이 견고한 질긴 침엽수 고향은 북반구 아한대 눈과 바람만이 나의 친구 더위라는 말조차 생경했던 내가 뜨거운 사랑을 품을 줄이야 가벼운 만남 뜨거운 입맞춤 짧은 키스가 끝나면 쉽게 버려질 사랑 [프로필] 2020 계간 『문학·선』 등단 시집 《행복 증후군》 용인문학, 한국작가회의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