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어린이는 다가올 시대를 열어갈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부인하지 않지만, 어쩐지 이들을 위한 목소리가 우리에게 많이 부족하다. 아동문학가 김지은의 에세이집 「어린이는 멀리 간다」는 그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선배세대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혹은 해야 할지를 문학이라는 창을 통해 말하고 있다. 저자 김지은의 현장은 아동문학의 현장이다. 번역과 비평, 창작을 동시에 하고 있는 저자는 한국과 세계를 넘나들며 어린이를 위한 문학 뿐 아니라 제도와 기관 등을 살핀다. 그 결과 책에는 어린이문학의 중요성과 시급한 문제들, 대안 등이 수록되었다. “어린이를 비롯한 모든 약자는 세계와 투쟁하며 성장하고 독립한다. 어린이는 그 과정에서 고분고분하지 않으며, 점점 더 강한 사람으로 자란다”고 말하는 저자. 그는 아동문학이 “목숨에 대한 애정을 찾아 써 놓은 사랑의 문학”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이 책은 어린이에게 찾아오는 다수의 어려운 일들에 대해 지면을 할애한다. 저자는 어린이가 주인이지만 아동문학의 자리에서 밀려나고 있는 상황을 소개하며 어른들의 몫을 말한다. 청소년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아직 어른이 아님에도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때로 보이지 않는 세력
용인신문 | 하나의 죽음이 하나의 이유와 짝을 지을 수 있을까? 하나의 슬픔과 짝지을 수 있을까? 앤 카슨의 『녹스』는 이를 거부하는 책이자 묘비이다. 저자 앤 카슨은 시인이면서 번역가이다. 저자에게 찾아온 오빠의 부고는 며칠간의 애도로 마무리 지을 수 없었다. 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듯 슬픔을 하나의 단절로 볼 수도 없는 『녹스』는 길고 긴 아코디언 북으로 완성해 낸 하나의 비가이기도 하다. 책은 관에 고인을 안치하듯 회색빛 상자 안에 고이 접어 보관된다. 어떤 면에는 고대어를 풀이한 사전과 같은 말들이 등장하고, 어떤 면은 주고받은 편지의 우표들이 등장하기도 한다. 불현듯 찢어진 편지의 일부가 혹은 메모가 등장하기도 하고 사진을 보여주기도 한다. 어떤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글은 또 다른 공간의 글과 단절되는 것 같지만 이들은 내면의 쓸쓸함을 공유하고 있다. 헤로도토스가 망각에 맞서기 위해 잠금장치를 만들고자 역사를 기록했다는 인용은 오빠의 기억을 영원히 남기고자 함이 아닐까. 하나의 단어는 여럿의 의미를 품고 있다. 이를테면 quae라는 라틴어 속에는 한 면을 차지하고도 남을 만큼의 의미들이 나열되고 또 나열된다. 결국 존재의 이유도, 죽음의 이유도, 슬
용인신문 | 성해나의 두 번째 소설집 『혼모노』가 출간되었다. 2024년 이효석문학상 우수작품상과 젊은 작가상을 수상한 「혼모노」와 2025년 젊은 작가상을 받은 「길티 클럽: 호랑이 만지기」를 비롯한 총 일곱 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표제작 「혼모노」는 진짜를 잃어버린 가짜의 마지막 몸짓을 다루는 소설이다. 30년째 장수할멈을 몸주로 모시는 문수. 장수할멈은 생화를 좋아해 문수가 제단에 꽃을 바칠 때마다 ‘혼모노(ほんもの)’라며 좋아한다. 그런 문수가 두 달 전부터 접신이 되지 않고 있다. 십 년 전부터 고객이었던 정치인 황보가 큰 굿을 맡기려 하지만 문수의 상태를 눈치채고 건너편에 이사 온 신애기를 찾아간다. 질투에 눈먼 문수는 신애기의 굿판에 뛰어들어 자신도 굿판을 벌인다. 소설은 ‘혼모노(ほんもの, 진짜)’와 ‘니세모노(にせもの, 가짜)’라는 말을 이용해 삶의 진짜와 가짜를 오가는 문수를 조명한다. 정성을 다하고 신에 대한 경외심을 가졌던 문수의 첫 마음은 진짜였기에 장수할멈과의 접신으로 영험한 무당이 될 수 있었다. 그런데 작품의 말미에 접신을 못하면서도 “이제야 진짜 가짜”가 되어 가볍다고 고백하는 것이 이 소설의 아이러니다. 어쩌면 바나나
용인신문 | 사람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경험을 모아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정의하기도 하고, 그런 현재의 자신을 밑거름 삼아 미래에 대한 자기 이야기를 그려내기도 한다. 그런데 그 이야기는 항상 진실만을 담고 있을까? 김애란이 소설은 때로 거짓말이 오히려 더욱 진실한 자신을 발견하게 하고 관계를 가깝게 할 수 있는 매개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게임을 한다. ‘나’를 설명하는 다섯 가지 문장을 만든다. 단, 이중 하나는 거짓말이어야 한다. 상대방은 ‘나’의 거짓말을 골라내야 한다. 어느 날 전학 온 고등학생 오채운에게 담임은 자기 소개를 ‘이중 하나는 거짓말’ 게임으로 하게 한다. 오채운의 등장에 그의 본질적인 정체를 한 눈에 알아본 소리, 그리고 오래전 오채운을 먼 발치에서 부러운 시선으로 바라봤던 지우가 이 소설의 세 중심인물이다. 세 주인공은 각자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 인생은 미리 생각한 이야기대로 나아가지 않았다. 그 때문에 좌절하고 무력해지기도 한다. 지우는 “내가 조금이라도 이야기의 흐름을 바꿔보겠다”(214쪽)고 말했지만 삶은 자신이 정한 방향과 달랐다. 채운은 자신의 상황이 “무서운 이야기에 갇힌”(134쪽
용인신문 | ‘털보 관장’으로 유명한 저자 이정모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5년, 서울시립과학관장 4년, 국립과천과학관장 3년 등 총 12년의 관장 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의 책 『찬란한 멸종』에서 저자는 지구가 다섯 번에 걸친 대멸종을 겪었지만 그때마다 오히려 생명체는 ‘찬란하게 진화’했다고 말한다. 『찬란한 멸종』은 세 PART에 걸쳐 다양한 생명체의 화자가 등장해 자연사와 인간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한다. 첫 번째 파트는 2150년부터 2100년 시기의 이야기이다. 가상의 미래를 다루는 이 부분은 지구멸망의 위협으로 추진된 화성 이주에 관한 내용이다. 두 번째 파트는 과거 자연사에 등장하는 생명체의 이야기이다. 세 번째 파트는 대멸종 속에서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생명체의 목소리를 듣기도 한다. 이 책은 인간이 장대한 생물의 역사에 아주 짧은 시간을 차지했음에도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고 설명한다. 인간은 신체적 조건이 열악했지만 지구의 미래를 책임질 중대한 역할이 있음을 소개하기도 한다. 지구의 입장에서 인간이 멸종하는 것은 어쩌면 ‘모든 생물은 죽는다’는 명제처럼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다만 인간의 입장으로 보면 지금은 상당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 그래
용인신문 |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가 막히지 않고 잘 통할 수 있을까? 여기에 답하는 수많은 강의와 책이 있지만 여전히 우리는 소통이 어려워 갈등이 만연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특히나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패널과 대중과의 소통은 더욱 어렵다. 김혜진의 소설 『경청』은 소통의 의미에 대해, 말의 무게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15년 상담경력의 자신감 넘치는 임해수. 방송에도 출연할 만큼 이력을 쌓았다. 그랬던 해수는 1년 넘게 보내지 못하는 편지를 쓰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그녀가 보기에 자신의 편지는 “언제나처럼 상대방의 마음을 알기엔 턱없이 부족한 글이고, 가만히 들여다보면 실은 그럴 마음도 별로 없는 글이고, 그러므로 폐기되어 마땅한 글”(64) 이다. 해수의 은둔은 방송에서 읽은 대본으로 인해 한 사람이 자살에 이르렀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돌이킬 수 없는 잘못을 저지른 악인. 용서받지 못한 가해자. 아니, 어쩌면 가혹한 누명을 뒤집어쓴 피해자. 역경에 굴복한 패배자. 시련 속에서 스스로를 잃어버린 얼간이”(250쪽) 중 어느 쪽일까? 길고양이 순무를 돌보며 자신의 문제를 반성하는 해수의 방식은 고요하다. 어떤 사안을 두고 단번에 방향을 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