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용인시 공공도서관에 극우 ‘리박스쿨’ 도서 비치

이설아(세계시민선언 대표/ 전) 민주당 경기도당 부대변인

 

용인신문 | 리박스쿨은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따 만든 극우 성향의 민간 역사교육 단체다. 이 단체는 제주 4·3과 여순 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고, 군경의 민간인 학살을 ‘방사선 치료’에 빗대는 등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서술이 들어간 아동용 도서를 공공기관에 추천해 비치하게끔 하는 등의 행위를 반복해 왔다. 리박스쿨이 논란이 되자 국사편찬위원회는 이들의 추천 도서가 “역사 왜곡이 있다”는 공식 검토 결과를 내놓았다. 이런 책이 아무런 제동 없이 어린이 손에 전달된다면, 그 영향은 단순한 논란을 넘어 세대 전체의 역사 인식에 깊은 상처를 남긴다.

 

그런데 용인시 공공도서관에도 현재 리박스쿨 관련 도서가 22권 비치돼 있다. 적은 수로 보여도, 인접 도시와 비교하면 상당히 많은 수치다. 광주·전남·제주 등 여러 지역이 이미 폐기나 열람 제한을 결정했고, 안양과 파주에서도 시 차원의 조치가 이어졌다. 반면 용인시는 별다른 대응 없이 시간을 흘려보내고 있다. 표현의 자유 논쟁을 넘어, 리박스쿨 도서 유지 여부는 사실 검증과 공적 책임의 영역이다. 아이들이 공공도서관을 신뢰하고 배우는 내용이 허위라면, 공공기관이 직접 거짓을 가르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공공도서관은 단순한 책 창고가 아니라 검증된 지식과 민주 시민 교육의 기반을 제공하는 곳이다. 이미 여러 지자체 도서관 규정에는 ‘정치적 편향’이나 ‘역사 왜곡’ 자료를 희망도서에서 배제한다는 조항이 명시돼 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아직 비판적으로 정보를 걸러낼 능력이 부족하다. 이런 독자가 “역사 공부”라는 이름으로 왜곡된 책을 접한다면, 그것은 역사 교육을 빙자한 정치 선전물에 공공 자원을 내어주는 것과 다름없다.

 

다행히 경기도의회 차원에서는 관내 도서관들의 리박스쿨 도서들을 일괄 폐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의회가 여전히 이 문제를 부차적 논쟁으로 넘기거나 도의회 차원의 결정만 기다린다면, 그건 아이들의 정보권과 학습권을 방기하는 행정 실패다.

 

따라서 용인시의회는 더 이상 경기도의회나 다른 기관의 결정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공공도서관은 지역 주민의 세금과 참여로 운영되며, 장서의 선정과 관리 책임은 우선적으로 해당 지자체에 있다. 도 차원의 지침만 바라본다면 절차가 지연되고, 그 사이 아이들은 왜곡된 서술을 학습하게 된다.

 

시의회는 지금이라도 용인시의 보유 현황을 전면 점검하고, 해당 도서의 대출과 열람을 즉시 중단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아울러 지점별 보유 권수와 처리 과정을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향후 유입을 막을 실질적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아이들이 진실을 배울 권리를 지키는 일, 그것이 바로 지방자치의 책무다. 용인시가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때 시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으며, 공공도서관이 지녀야 할 교육적 책무 역시 온전히 살아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