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국가란 무엇인가? 고대의 철학자 플라톤이나 공자로부터 시작해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자들이 한결같이 생각했던 명제가 바로 국가의 존재 이유를 묻는 것이었다. 4월이 되면 우리는 다시 이 명제에 대해 숙고하게 된다. 우리에게는 4·3, 4·16, 4·19 등 이러저러한 국가적으로 고단한 기억들이 주변을 서성이고 있는데다 최근 대통령 파면에 이르기까지 겪었기 때문이다. 최근 제주4·3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사실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세월호는 우리에게 무엇인가』는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는 철학자의 답이다.
저자는 다수의 철학자들이 짚었던 국가의 존재 이유를 들어 세월호 참사를 성찰한다. 공자는 국가가 선의(善意)를 전제로 부모와 같은 마음을 갖고 백성을 보살펴야 한다고 했다. 홉스는 생명 유지를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인간의 자연권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유일한 존재 이유이며 최우선 과제라 여겼다. 그 과정에서 비자연적이고 사회적인 불평등에 의해 자연권이 파괴·침해되는 것을 국가가 막을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 이는 루소였다. 이 같은 철학자들의 성찰은 참사를 통해 드러난 불완전한 국가의 모습을 반추에 ‘완전한 국가를 도모’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저자도 세월호 참사를 경험하며 자신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희망은 있는가?
저자가 말하는 희망은 우리 속에 사회적 통찰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참사 속에서 사회적 배경, 사회적 맥락, 사회적 의미 등을 통찰해 낸다. 국회에서 4월을 기억하는 특별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이를 방증하는 의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