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이름으로, 우리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용인신문 | ‘식(識)’은 배우고 익혀서 아는 것이고, ‘지(知)’는 배우지 않아도 스스로 깨달아야 할 인간 본연의 앎이다. 그렇기에 무식이 부끄러울 수는 있어도 죄는 아니었다. 그러나 시대에 따라 무식이 죄가 되는 순간이 있다. 무식이 정치권력과 결탁하는 순간이다. 그것은 개인의 한계를 넘어, 공동체 전체의 윤리를 위협한다. 최근 ‘리박스쿨’이라는 이름 아래 진행된 역사교육은 단순한 콘텐츠의 선택이나 해석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특정한 정치적 의도 아래 미래 세대의 정신에 독을 주입하는 반역사적, 반윤리적 행위이다. 이들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고, 피해자를 가해자로 바꾸며, ‘다양한 관점’이라는 이름으로 역사를 정치의 도구로 전락시킨다.“한일합병은 불가피했다”, “이승만은 건국의 아버지, 박정희는 근대화의 구세주”라는 식의 이분법적 서술은 학문이 아닌 프로파간다에 가깝다. 문제는 이러한 역사 왜곡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청소년들에게 구조화되고 있다는 데 있다. 이는 단순한 관점의 차이를 넘어 비판적 사고를 무력화시키고, 역사적 감수성을 마비시키는 체계적 세뇌다. 그 결과는 사회 전체의 기억을 훼손하고 민주주의의 뿌리를 흔드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