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구청 복지센터에 소재한 수지청소년문화의집 전경 대한민국역사탐방단 청소년들이 백범김구기념관에서 탐방활동을 하고 있다 자치기구연합워크숍 청소년들이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운동을 통해 건강과 자기표현력을 키우는 여성청소년들이 풋살로 자신을 다지고 있다 수지맞은취미교실 참가 청소년들이 해금교실에서 취미활동을 하고 있다 기획탐방/청소년의 미래를 보다-9 동아리실·독서실·보드카페·댄스연습실 등 인기 댄스·밴드·코딩·법률 등 12개 동아리 223명 활동 용인신문 | △ 역사와 음악이 어우러진 청소년 문화창조 기지 수지청소년문화의집은 수지구청 복지센터 5층에 위치하며 지난 2012년 개관 이후 지역 청소년의 문화 활동 거점이자 창의적 여가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청소년 활동 플랫폼’을 비전으로 삼아 체험 중심 미래역량 강화 프로그램, 청소년 참여권리 보장, 지역사회 협력 강화 등 공공 청소년시설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다목적실, 동아리실, 열린 독서실, 보드카페, 댄스연습실, 노래방, 플레이존, 자치활동실, 청소년 상담실 등이 마련돼 청소년들의 다양한 흥미와 욕구를 반영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청소년 주도 활동 강화를 위해 댄스, 밴드, 코딩
신갈청소년문화의집 전경 독도 탐방, 독도는 우리땅! 신갈청소년 축제, 무대에서는 우리가 왕! 가족의 발견, 와~ 월척이다! 우리아빠 최고! 가족의 발견, 한국민속촌을 가다 기획탐방/청소년의 미래를 보다-8 1층 청소년 북카페·열린 독서실 2층 동아리실·음악연습실 갖춰 문학작품 노래·춤 재해석 ‘앙상북’ ‘울릉도·독도 탐방’ 프로그램 운영 용인신문 | △ 청소년들의 꿈을 키우는 공간 기흥구에 위치한 신갈청소년문화의집은 지난 2005년 문을 연 용인시 최초의 청소년문화의집이며 2010년 용인시 청소년미래재단(대표이사 김영우)이 운영을 맡은 이래 지역 청소년 활동의 중심축 역할을 해왔다. 지상 2층 규모의 건물에는 1층에 청소년 북카페, 열린 독서실, 다목적실, 인터넷 카페, 닌텐도 게임 공간이 있고 2층에 동아리실, 체육활동실, 음악연습실, 노래연습실이 갖춰져 있어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방문해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신갈청소년문화의집은 ‘청소년이 행복한 활동 공간 제공’이란 비전 아래 청소년 주도 활동 강화, 지역 인적·물적 자원 네트워크 구축, K-청소년 맞춤형 문화 활동 확대를 목표로 총 24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특히 문화의집 반경 500미터 이
유림청소년문화의집 전경 청소년 문화축제 한마당 과학원정대 대원들이 연구와 실험을 하고 있다 함께가요 가족테마 여행에 함께한 가족들이 꽃을 관찰하고 있다 기획탐방/청소년의 미래를 보다-7 1층 북카페·독서실·인터넷 카페 2층 음악활동실·노래연습실 갖춰 용인신문 | 처인구 유림동에 위치한 유림청소년문화의집은 지역 청소년들에게 일상 속 안정적인 여가 공간이자 자기계발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2010년 10월 개관했으며 경전철 에버라인 보평역 인근, 용인성산초등학교에서 도보 1~2분(약 50m) 거리에 위치해 방과 후 청소년들의 주요 활동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건물은 지상 2층 규모로 1층에 청소년 북카페, 열린 독서실, 청소년 동아리실, 인터넷 카페, 게임 공간(닌텐도 등)이, 2층에는 회의실, 음악활동실, 노래연습실 등이 마련돼 다양한 문화·예술·소통 활동이 가능하다. 이는 청소년들의 자율적 참여와 공동체 의식 형성에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용인성산초등학교 4학년 한 학생은 “학교 수업이 끝나면 친구들과 책도 보고 게임도 하며 시간을 보낸다”며 “특히 더운 날에는 집에 가기 싫을 정도로 시원하고 즐거운 공간”이라고 말했다. 유림청소년문화의집은
김영우 대표이사가 흥덕청소년문화의집 개관식에서 이상일 시장을 비롯한 개관식 참석자들에게 각층을 돌며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방문자들이 각자의 개성을 살려 동아리실을 이용하는 모습 (6매) 흥덕청소년문화의집 정문 기획탐방/청소년의 미래를 보다-6 1층 북스텝, 시원한 독서 삼매경 3층 컬처스테이션 게임천국 인기 층별 특화 구성 ‘밀착형 문화공간’ 용인신문 | ■ 청소년 맞춤형 공간에서 즐거움과 꿈을 찾다 “처음 와봤는데 1층 북스텝에서 친구들과 책도 보고 이야기 나누는 게 너무 편하고 좋았어요. 바로 옆에 레고존도 있어서 쉬는 시간에 간단히 만들기도 하고요. 무엇보다 3층 컬처스테이션은 평소 하고 싶었던 닌텐도와 플레이스테이션, 보드게임 같은 다양한 놀이가 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몰랐어요. 다음엔 꼭 친구들이랑 다시 오고 싶어요.” 흥덕청소년문화의집을 처음 이용한 흥덕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 말을 마치고 서둘러 다시 놀이공간으로 돌아갔다. ■ 첨단 시설을 갖춘 지역 대표 청소년 문화공간 지난 7일 기흥구 영덕동에 개소한 흥덕청소년문화의집은 시민 건강 증진과 여가 활동을 위한 기흥국민체육센터와 나란히 조성됐다. 사용자 중심의 청소년 전용공간으로 지역 청소년들의 자기주
경기도 청소년 진로문화 축제에서 끼를 발산하는 청소년들 경기도 청소년 진로문화 축제에 참가한 다양한 부스에서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는 청소년들 김영우 대표(중앙)가 진로서포터즈 발대식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용인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미래교육 멜로디제작소 모습 청소년의 미래에 든든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이상일 시장이 진로진학레시피 부모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기획탐방/청소년의 미래를 보다-5 진로코칭·우리동네 선생님 등 올해 역량 강화 25개 사업 추진 학부모 150여명 대상 진학 특강 용인신문 | 삶과 진로를 잇는 길…청소년 진로 교육 동반자 ■ 작은 목소리에 담긴 큰 꿈 “세계를 돌아다니며 한글과 K-POP, 우리 영토인 독도에 대해 널리 알리는 유튜버가 되고 싶어요.” 지난 5월 23일, 청소년과 시민 7000여 명이 함께한 ‘경기도 청소년의 날 기념식 및 진로문화축제’가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이날 참석한 서천중학교 2학년 한 청소년이 조심스럽지만 또렷한 목소리로 자신의 꿈을 말하며 많은 이들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전했다. ■ 청소년에게 길을 알리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매년 전국 청소년의 진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진로교육 현
기획탐방/청소년의 미래를 보다-4 용인지역 ‘학교 밖 청소년’ 2182명 달해 경기도 31개 시·군 중 최고… 동행 절실 시, ‘꿈드림’ 독립기관 분리 전담 기능↑ 맞춤형 프로그램·전방위 지원 ‘길잡이’ 용인신문 | ■ “몇 학년이세요?”… 학교 밖 청소년에 상처 “몇 학년이세요?” 흔히 청소년들을 만났을 때 자연스레 건네는 인사말이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는 무심코 건넨 이 질문이 상처를 주는 말이 될 수 있다. 학교라는 제도 밖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낙인이 찍히는 현실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국가교육통계센터와 여성가족부의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용인시 학교 밖 청소년 수는 2182명이다. 용인시 전체 청소년의 약 1.7%며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많다. 이와 함께 2023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진행한 사회적 인식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7%가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해 ‘문제아’, ‘사회 부적응자’, ‘비행 청소년’이란 부정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사회적 시선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존감 저하, 사회적 고립,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져 건강한 성장과 사회 적응에 큰 장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