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농의 세설 린획(麟獲)은 양날의 검 BC481년 노 애공 14년 공자는 71세 나이에 춘추를 썼는데 노나라 서쪽에서 기린이 잡혔다. 서수획린(西狩獲麟)은 소식을 듣자 춘추 책을 기린 잡은 데서 멈추다(春秋止于獲麟)로 맺는다. 이 문장은 훗날 처세술의 경책으로 회자된다. 사람이란 이기적이어서 약자에겐 강하고 강자에겐 약하다. 그 약함 속에는 욕망이 이성을 이김을 내함(內含)한다. 영웅은 공부하지 않지만 남 밑에 있으려면 배워야한다.(英雄不會讀詩書 取而代之 水湖志)필요하면 아버지처럼 모시고 필요 없을 땐 후레자식처럼 버리는게 세상인심이다. 남 밑에 오래 버티려면 네 권의 책이 필독이다. 비문, 마지, 한해, 당송(非天.馬地.韓海.唐宋). 한비자의 글은 하늘의 그물망 같고, 비천(非天) 사마천의 글은 땅과 같고 마지(馬地)한 퇴지의 글은 바다 같고 한해(韓海) 당송의 시는 사람을 움직인다. 이인(移人) 본래 당시는 77명의 시 311수이나 장섭(章燮)이 당시삼백수주소(唐詩三百首註疏)를 달면서 11수를 첨하여 321수가 전한다. 와신상담의 패자 월왕 구천이 복수 할 수 있었던 것은 거짓된 행동으로 진실을 숨겼기 때문에 가능했다. 가식은 수단이고 책략이다. 업을 이
우농의 세설 세월호 때는 몇 장의 손수건을 적시셨나요? 공문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이 시예락(詩禮樂)이다. 논어 태백(泰伯)에 자왈 흥어시하고 입어례하며 성어락하라(子曰興於詩 立於禮 成於樂). 시로 바른 마음을 일으키고, 예로 일으켜진 마음을 세우고, 음악을 통해 완성한다. 공자는 아들에게 과정지훈(過庭之訓)을 하는데 시와 예다.논어계씨 공자는 왜 아들에게 시와 예를 배우라 했을까. 시를 모르면 남 앞에서 말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고, 또 예를 모르면 말은 고사하고 남 앞에서 설수가 없기 때문이다. 인류의 모든 시는 시경에서 출발한다. 본래 시경은 운자에 구애됨이 없는데 비해 네 글자로 되어 두자에서 끊어 부르는 노랫말이다. 여기까지가 고체시이고, 이것이 당대 두보(杜甫)에 이르러 근체시로 절구와 율시와 배율, 그리고 대구 운자로 체계화된다. 다섯 글자 네 줄씩 여덟줄 혹은 일곱 글자 네 줄씩 여덟줄 이를 오언절구 율시. 칠언절구 율시라 하는데 본래는 여섯 자, 여덟 자로 짓는데 한 글자를 뺀다. 이를 허사(虛辭)라 하여 독자의 몫으로 남겨둔 시어(詩語)다. 한시를 지을 때는 오언시이나 여섯 자로 짓되 쓰기는 다섯 자를 쓰고, 칠언시이나 여덟
우농의 세설 가장 오래된 인문학 태교 아성(亞聖) 맹자(孟子)는 인간은 선(善)하다. 그런데 차성(次聖) 순자(荀子)는 인간은 본질적으로 악하다. 그 뒷말이 반전이다. 교육하면 악인도 선해질 수 있다. 그리고서 나온 말이 빙생어수한우수 청출어람청어람(氷生於水寒于水 靑出於藍靑於藍)이다. 얼음은 물에서 생겼지만 물보다 차고, 푸른빛은 쪽풀에서 나왔지만 쪽풀보다 더 푸르다. 순자권학(荀子勸學) 이 말에 대한 해석은 극과 극이다. 본래 이 말은 전별 어인데 앞에 문장은 이사에게 준 글이고 뒤 문장은 한비에게 준 글이다. 달변가 이사는 인간의 본질은 악하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자신의 인생관을 피력해 나가고 말더듬이 한비는 인간의 본질은 악하긴 하나 마지막 하한선에 규칙을 세워 인간의 바닥을 보지 않게 하자는 것이 한비철학의 법치다. 위의 두 문장은 자신들의 성격을 조심하라는 스승이 제자에게 주는 자경(自警)의 잠(箴)이다. 결국 이사는 물보다 더 찬 얼음 같은 냉혈한으로 인생을 살다가 저자거리에서 아들과 함께 허리가 잘리는 비명횡사를 했고, 한비는 그토록 보기를 원치 않았던 인간의 바닥을 동문인 이사에게 본다. 결국 이사의 집에 마련된 사설감옥에서 생을 마감한다. 그
우농의 세설 국민은 재벌들의 노예가 아니다 지난해 갑오년 최고의 갑질은 까까 미개봉사건 전말에 관한 보고서다. 일명 땅콩회항사건이다. 거기서 누군가의 자식이며 누군가의 가정을 책임진 가장인 아무개 남자 사무장은 부사장 앞에서 폭행을 당하고, 무릎까지 꿇리는 모욕을 당했다. 아니 굴욕을 동반한 치욕을 당했으나 더 이상 개처럼 살지 않겠다는 인간선언을 하게 된다. 월급쟁이들에게 사장이란 국가기관에 끌려가서 고문당하는 것보다 더 무서운 존재다. 월급쟁이들에게 있어서 사장이란 곧 하늘이다. 더군다나 아버지 빽만 믿고 앞뒤분간 못하는 세습사장이라면 그건 그야말로 으스스한 하늘이다. 이런 갑들의 전쟁통에서 총알받이로 살아남아야하는 을들의 고군분투는 실로 눈물겹다. 특히 대한민국 작금의 기업 조직에서 월급쟁이들은 직장인이라기보다는 노예라는 말이 더 적확한 표현 아닐까. 생존에 필요한 것은 인간의 덕목이 아닌 노예의 덕목이다. 작고한 아동문학가 권정생은 혁명가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잘못되고 공정치 못한 일이라면 희생을 해서라도 바로 고쳐나가는 사람이 바로 혁명가다라고 말했는데, 이들이야 말로 우리시대의 영웅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이들은 우리를 짓누르는 이 무력감,
우농의 세설 리언(俚諺) 왈, 군자는 곁불을 쬐지 않는다.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은 마시지 않으며(渴不飮盜泉水 갈불음도천수) 더워도 나쁜 나무 그늘 에서는 쉬지 않으리(烈不息惡木陰열불식 악목음) 나쁜 나무엔들 어찌 가지가 없으랴(惡木豈無枝 악목기무지) 뜻있는 선비는 모든 면에서 마음이 고하구나.(志士多苦心 지사다고심) 진(晉)나라 육기(陸機)가 쓴 맹호행(猛虎行)모두(冒頭) 장(章)으로 문선(文選)에 실린 글 이다. 설원(說苑說叢)의 기록에 의하면 공자는 문도들과 천하를 주유(周遊)하면서 죽을 만치 목이 마른 적이 두 번 있었으나 물을 마시지 않고 지나간 곳이 있다 한다. 승모 마을에 도착해서 물을 마시지 않은 일과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에 있는 도천(盜泉)의 샘물을 지나면서 물을 마시지 않은 일이 그것이다. 승모(勝母)라는 말은 자식이 어머니를 이긴다는 말로 세상에 이보다 더 패륜은 없으리라. 도천이란 말은 본래 도천(道泉)으로 임지에 부임하기 전에 도덕적으로 깨끗한 목민관이 되겠다고 다짐하며 마시는 물인데 훗날에는 많은 관리들이 도와는 상관없이 습관적으로 이 물을 마셨다한다. 그 후 관리들의 부패는 하늘을 찔렀고, 백성들 사이에서는 도학자
우농의 세설 양들의 침묵 말(談)중에 최고는 덕담(德談)이다. 덕담을 주는 자는 영광이 되고, 받는 자는 복이 된다. 그 이유는 덕담이 지니는 말의 향(香) 때문이다. 나이든 사람들은 배움의 길고 짧음의 유무를 떠나서 자신이 살아온 인생관이 응축된 철학을 젊은이들에게 나눠줄 의무와 책임이 있다. 예기 대학 왈, 돈은 집을 윤택하게 하고 덕은 몸을 윤택하게 하니 마음이 넓고 몸은 편하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 뜻 본말에 성실해야 한다.(富潤屋 德潤身 心廣體胖故 君子 必誠其意) 분명한 것은 돈과 재물은 본이 아니다. 덕이 본이다(德本財末)라는 말에 대해 대학은 지극히 당연한 가르침을 준다. 군자는 먼저 덕을 쌓아야 하며. 덕이 있으면 사람이 있게 되고, 사람이 있으면 땅이 있게 되고, 땅이 있으면 재물이 있게 되나니덕은 근본이고 재물은 말단이다.(君子 先愼乎德 有德此有人 有人此有土 有土此有財 德者本也 財者末也) 쉽게 말해서 돈을 벌 때는 반드시 도덕적으로 깨끗한 바탕위에 벌라는 말이다. 전국책 왈, 마음 씀씀이가 후한 사람은 남을 해쳐가면서 자신을 이롭게 하지 않는다. (厚者不毁人以自益也.) 제나라 경공은 말 4000필과 천하를 얻을 정도의 부자였으나
우농의 세설 사과는 그렇게 하는 게 아니다. 고려사 106권 열전 19권에 그는 성품은 강직했으며 삶은 소박했고, 사람 사이에 무례가 없었다. 고려 말 충렬 왕 때 좌사간을 거쳐 민부상서와 예문관 제학을 지낸 동양의 바이블이라는 명심보감을 지은 로당(露當) 추적이 그다. 그 명심보감에 복 있다고 복 다 누리지 마라. 복 다하면 몸이 빈궁하게 될 것이요, 권세 있다고 권세 다 부리지 마라. 권세 다하면 원한 산 사람을 만날 것이다. (有福 莫享盡 福盡 身貧窮 有勢 莫使盡 勢盡 相逢 明心寶鑑) 금쪽같은 이 말을 순암 안정복이 사족을 단다. 사람의 일상에서 가장 힘쓸 것은 예다. 절세의 재주와 최고의 지략이 있더라도 예가 없으면 사람이 될 수 없다.(人之用力, 不過彛倫日用之常. 於此蹉失, 則雖有絶時之才高世之略, 不可爲完人也.安鼎福 順庵集 卷十四 示弟鼎祿子景曾遺書) 그렇다. 굳이 증거를 들이대지 않아도 세상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다. 공부를 아무리 잘하고 돈이 아무리 많고 권세가 있다한들 예(禮)가 없다면 그는 인간 말종이라는 사실을. 예는 절도를 넘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고, 누구에게도 버릇없이 굴지 않으며, 예는 자기를 낮추고 남을 높이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농의 세설 공자의 제자 재여와 박지만 논어에는 재여와 관계된 문장이 5번 나오는데 공자가 직접 재여를 언급한 대목 선진을 빼면 모두 재여를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재여는 불성실했으며, 근거 없는 말로 현혹했으며, 전통을 부정했으며, 스승을 시험한다. 재여는 노나라 출신으로 자(字)가 자아(子我), 재아(宰我)다. 자공과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모시고 14년의 풍찬로숙(風餐露宿)을 견뎌낸 후대 왕조에서는 공(公)으로 존숭된다. 재여는 어떤 인물일까. 공자의 제자 중에 가장 똑똑하고 가장 말 잘하고, 가장 몹쓸 제자 역시 재여다. 공자에게 있어서 재여는 아픈 손가락이다. 재여는 성실하지도 않을 뿐더러 공자학당의 규칙도 안 지키고 늦게 일어나는 일은 다반사고, 암튼 애물단지지만 공문십철(孔門十哲)에 드는 빼어난 제자임에 분명했다. 그는 자공과 동년배로 유일하게 속내를 말할 수 있는 막역지우다. 한동안 나타나지 않아서 모두들 궁금해 하던 차에 재여가 오찬(午餐)장에 불쑥 나타난다. 모두 그를 반겼다. 스승인 공자도 오랜만에 재여와 겸상을 하니 좋았다. 그런데 재여의 표정은 심각했다. 밥을 미처 먹기도 전에 스승께 묻는다. 우물에 사람이 빠지면 마땅히 뛰어
우농의 세설 문고리 권력 고려 제7대 목종(穆宗)(집권 997~1009년) 임금 모친 천추태후(千秋太后)는 목종이 집권한 12년 동안 섭정을 하지만 말로가 불행했다. 20년 봄 정월 계사일(癸巳日) 천추태후(千秋太后) 황보씨(皇甫氏) 훙(薨) 유릉(幽陵)에 장사하다. 고려사 현종세가 그 시발은 천추태후와 그의 내연 남 김치양과의 궁궐 안 밀회다. 남편인 제5대 경종 임금이 죽고 천추태후가 대비가 되자, 내연 남 김치양은 궁궐 출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승려를 가장해 태후의 처소를 출입한다. 소문은 장안을 덮었고, 제6대 임금 천추태후의 오빠 성종은 김치양에게 곤장을 친후 귀양을 보냈다. 고려사 김치양전 참고로 천추태후의 남편인 경종이 죽자 당시 두 살인 태후의 아들 목종이 너무 어리므로 태조의 손자이자 경종의 사촌 형제이며 태후의 오빠인 성종이 왕이 된다. 성종이 죽고 목종(997)이 왕이 되면서 두 사람 사이는 다시 뜨거워진다. 당시 34세인 정력 왕성한 천추태후는 정7품 하위직 합문통사사인(閤門通事舍人)벼슬을 제수하며, 김치양을 정부(情夫)로 끌어들인 후 오늘날의 차관급인 정2품 상서도성 우복야겸(右僕射兼) 정3품 삼사사(三司事)로 승진시킨다. 이일 후
우농의 세설 낙방거사가 부르는 절창 남창지름 선비가 일생을 두고 해야 할 공부는 경전을 읽는 것이다. 밥을 굶을 수는 있지만 글 읽기를 멈출 수는 없다. 선비 삼로(三衫勞 옷깃을 여미고 힘쓴다)라 하여 선비는 세가지 일에 힘을 쓰는데 글 읽는 일, 상소문 쓰는 일, 그리고 부학이다. 부학(副學)은 네개가 있는데 시서화금(詩書畵琴)이다. 선비가 잡기에 능해서는 안되지만 시서화금은 부학이라 하여 잡기와는 구별을 한다. 계(紒)상투하고 치포관(緇布冠)을 쓰고, 청금의(靑衿衣)나 학창의(鶴氅衣)를 한 선비는 시(詩)즉 한시에 운자(韻字)를 놓을 줄 알아야 하고, 서(書) 즉 붓글씨를 쓸 줄 알아야하고, 화(畵) 즉 사군자를 칠 수 있어야 하고, 금(琴) 즉 시조창을 읊을수 있어야 한다. 시조창이라는 명칭은 가람 이병기(1891~1968)선생은 시절을 노래한다는 시절가로서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줄인 말이라 했다. 본래 이 말은 서천 화양인(人) 영조 때 시인 석북 신광수(申光洙) 숙종 38년 1712년~영조 51년 1775년의〈석북집〉관서악부 15장에 있는 말로서 관산융마(關山戎馬)기록에 의하면 시조는 장음과 단음을 늘어놓은 것으로 장안의 가
우농의 세설 청와대 CCTV가 있는 이유 대한민국 헌법은 외국 어느 나라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문장으로 시작된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명토 박아 놓은 헌법 제 1조 1항의 문구가 그것이다. 그 다음 대한민국헌법의 꽃이라는 헌법 제1조 2항은 기막힌 문장으로 쐐기를 박는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세상에 이보다 더 아름다운 문장이 또 있을까? 민주공화국 국가에서 대통령은 국민투표를 통해서 국민으로부터 국가를 운영할 권한을 한시적으로 위임받은 큰 일꾼이다. 그러므로 대통령으로 선출된 순간부터 사생활은 존재할 수 없고, 존재해서도 안 된다. 대통령의 권한 행사 또한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제한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반드시 명심해야할 것은 대통령 재임기간 대통령의 행동은 국민의 여론과 함께 가야한다. 청와대에 CCTV가 존재하는 이유도 그중 하나다. 청와대에 CCTV를 설치한 이유는 국민이 대통령을 감시하기 위함이 아니라 대통령이 국민에게 투명하기 위함이다. CCTV하면 오버 랩 되는 것이 지난4월16일 세월호 침몰 당시 대통령의 청와대 경내 7시간의 행적이다. 이를 두고 김기춘 비서실장은 박근혜
우농의 세설 가장 위험한 삐라. 1000년 동안 잊혀진 사상가를 꼽으라면 단연 맹자가 으뜸이다. 그런 그가 남송의 유학자 주자에 의해 재해석되면서 아성(亞聖)의 반열에 선다. 결국 맹자는 진보 유학자들에 의해 논어가 성리학의 이념을 지탱해주는 책이라면 맹자는 성리학을 뿌리내릴 수 있게 하는 국가 이데올로기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좌우서가 된다. 하지만 맹자라는 책은 기존 권력을 잡은 자들에게는 목에 걸린 가시와 같은 책이다. 결코 권력 이데올로기로 순화될 수 없는 책이란 말이다. 그만큼 맹자라는 책은 급진적 혁명사상을 담고 있는 매우 불온하고 위험하기 짝이 없는 책이다. 삼봉과 포은은 서당동기지만 포은이 오년 배다. 일찍이 삼봉은 맹자를 천 번 이상 읽은 사람이다. 정도전은 20세에 성균관에서 경전을 공부할 수 있는 진사시에 급제, 얼마 후 부친상으로 3년 시묘를 사는데 포은이 맹자 책을 준다. 서당시절 삼봉이 맹자를 외운다는 걸 포은이 모르지 않을 터. 고개를 갸웃하며 포은이 건네준 맹자 책을 토씨하나 안 빼놓고 하루 반 장 이상을 넘기지 않으며 아주 느리게 경전 해석하듯이 읽는다. 그렇게 시묘 살이 3년 기간 동안 맹자를 읽으면서 비로소 역성혁명을 꿈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