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내 사랑이 그렇다 오봉옥 1 내가 구름을 걷고 싶은 건 순전히 고 기집애 때문이었다 온종일 졸래졸래 따라다니던 열 세 살 고 기집애 우린 구름 속에 집을 지어놓고 꿈꾸듯 흘러 다녔다 난 서울로 가자했고, 고 기집애는 무인도로 가자했다 (.......) 3 새우처럼 구부리고 자는 늙은 아내의 맨발이 섧다 무슨 가슴 앓이를 하고 살았기에 밭고랑처럼 발바닥이 쩌억 쩍 갈라진 것이냐 구멍 난 팬티를 아무렇지도 않게 입고 다니는 여자 늘어지 뱃살을 애써 감추며 배시시 웃는 여자 살갖 좀 늘어진들 어떠랴 엄니 가슴팍처럼 쪼그라들고 늘어진 거기에 꽃무늬 벽지 같은 문신 하나 새기고 싶다 나와 눈이 마주치지 않았더라면 더 높이 날아올랐을 텐데 들판을 통통 튀어 오르는 가젤의 발거름 처럼 가볍고 신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었을 텐데 가여운 그 여자 팔베개를 해주려 하니 고단한 숨을 몰아쉬면서도 내 팔 저릴까 가만히 밀어내고 있다 오복옥에게 여자는 구름을 걷게 하고 꽃무늬벽지같은 문신 하나 늘어진 젖가슴에 새기고 싶게 만든다. 열세 살의 고 기집애가, 생략되었지만 스물아홉 숨어지낼 때 그와 몰래 만나던 처녀였고 지금의 맨발이 섧은 늙은 아내다. 한 사내의
선비가 치국을 꿈꾸는 계절이 가을이다. 물론 치국에 이르는 길은 수신과 제가가 먼저 선행 된다. 요즘이야 개나 소나 치자가 되겠다고 나서는 판국에 수신이나 제가라는 말이 무슨 의미나 있겠나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정서는 여전히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들먹인다. 이는 곧 유학(儒學)에서 강조하는 올바른 선비의 길. 이기 때문이다. 이를 줄여서 수제치평(修齊治平)이라 한다. 대학(大學) 경 1장과 전 10장을 비롯 대학 전체를 아우르는 말이다. 천하에 뜻을 둔 선비가 가장 먼저 할일은 뭘까. 어려서는 소학으로 삼절(三節)<쇄소응대진퇴지절灑掃應對進退之節>, 사도(四道)<애친경장융사친우지도愛親敬長隆師親友之道>를 익히고, 16세인 방년(芳年)에 이르면 대학으로 수제치평(修齊治平)을 이루는 공부를 한다. 그래서 삼절사도를 일러 수제치평(修齊治平)<개소이위수신제가치국평천하지본皆所以爲脩身齊家治國平天下之本>의 기본이라 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천하라고 하는 것이 뜻만 세웠다고 해서 거머질수 있는 것은 아닐 터. 천시(天時)가 맞아야 하고 그에 따른 인시(人時)가 따라줘야 한다. 작금의 대한민국은 천하를 거머쥔 자들의 신(新) 춘추
<용인신문>
현 소선거구제 '승자독식' 부작용 다양한 표심 공정하게 반영 한계 거대 양당 공고해져 '기득권 정치' 독일 연방의회 총의석수 '7-9명' 여성 . 청년 등 '진입장벽' 낮춰야 여야는 10월24일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첫 번째 회의를 열고 상임위원장에 정의당 심상정 의원(경기고양갑/3선)을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정개특위는 지난 7월26일 국회본회의에서 구성안이 통과되었으나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극한 대립으로 3개월여를 허비하다 이날 가까스로 출범했다. 정개특위는 선거구 획정과 같은 제한적인 범위를 넘어 정당별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 등 1988년 제13대 국회에서 채택된 소선거구제를 근본적으로 개정할 계획이다. 현행 소선거구제는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1노 3김이 대결한 지역구도의 산물이다. 3김 시대를 주도한 당시 YS, DJ, JP는 각각 부산경남, 호남, 충청을 장악하고 소선거구제와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의원을 배정하는 선거방식을 채택하였다. 20대 국회에서 선거제도가 완전히 바뀐다면 소선거구제는 30여년 만에 퇴장하게 된다. 그동안 언론에서 선거제도 개편에 관한 보도는 많았으나 아직 다수의 유권자는 무엇이 핵심 쟁점인지 명확하게 인식하지
최은진의 BOOK소리 130 식(食)과 생(生)의 숭고함에 관하여 먹는 인간 ◎ 저자 : 헨미 요 / 출판사 : 메멘토 / 정가 : 16,000원 지금은 그야말로 탐식을 넘어 폭식의 시대다. 필사적일만큼 치열하게 먹어대면서도 건강식이나 다이어트를 고민하는 우리들. 단 한 번도 한 끼 식사에 대한 인문학적인 사색 따위는 하지 않고 그저 먹어왔던 자신을 부끄럽게 만들어줄, 미식 예찬의 반대쪽에 있는 책. 전쟁, 기아, 재해 같은 분쟁 속에서 하루하루 끼니를 잇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날마다 넘쳐나는 음식을 마주하는 우리에게 강펀치를 날린다. 일본의 저널리스트이자 시인, 소설가인 헨미 요는 대인기피증에 걸린 자신을 위해 여행을 하게 된다. 생(生)의 음식을 찾아 세상을 떠돌며, 그 나라 사람들이 먹는 음식과 거기에 얽힌 사연들을 담았다. 여행 전 그는 ‘사람들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어떤 얼굴로 먹고 있을까, 또는 얼마나 못 먹고 있을까? 배고픔을 어떻게 견디고 있을까? 하루하루 음식을 먹는 당연한 행위를 어떻게 의식하고 있을까, 또는 의식도 못하고 있을까?’같은 문제를 인식한다. 무엇보다 포식에 익숙해진 자신의 혀와 위가 못마땅해졌고, 호강에 겨워 흐트러지
국회의 교육부 국정 감사에서 비리 유치원 명단과 행태가 공개되어 파장이 일파만파다. 5년간 무려 1800여개 유치원에서 5900여 건의 크고 작은 비리가 적발됐다. 부적절하게 사용된 돈만 269억 원. 이번 사태가 사회적 공분을 불러온 이유는 단 한 가지, 국민 혈세를 쌈짓돈처럼 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비리 유치원도 문제지만, 세금을 제멋대로 유용토록 방치해온 정부 또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유치원과 어린이집 관리 시스템을 개혁해야 한다. 사립 유치원에 매년 2조원 이상 세금 지원을 하면서도, 부적절한 집행이 적발되어도 형사처벌은커녕 환수조차 할 수 없는 시스템이다. 반면, 어린이집은 지원금이 보조금 명목이라 위법시 형사처벌 대상이다. 근본적인 문제부터 이해불가의 영역이 아닐 수 없다. 논란의 배경엔 불편하지만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오래된 먹이사슬 경쟁구조를 지적할 수밖에 없다. 입법 당사자인 국회의원들에 대한 두 집단의 다양한 정치로비 또한 치열했던 게 사실이다. 초저출산시대에 접어들면서 ‘교육’과 ‘보육’이라는 경계위에서 자칫 ‘어린이 장사’라는 상업적 이해관계를 고착화시켜왔던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현행법상 유치원은
언제나 다가서는 질문 같이 김명수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습니다 나무와 풀잎과 이슬과 바람 황무지 흙먼지 별빛의 언어 대지와 지평선 새들의 말 물결은 뭍으로만 차지 않지만 바다에 출렁이는 물결같이 기슭에 휩쓸리는 파도같이 세계는 그대 앞에 펼쳐졌건만 부서진 파도는 되밀려가네 허공에 입맞춘 타는 그 입술 메마른 입술이 입 맞춘 허공 병사들, 병사들 모든 병사들 언제나 무거운 물음같이 원망(遠方)의 어두운 그림자처럼 언제나 다가서는 질문같이 어제도 오늘도 모든 병사들 @김명수는 자연의 모든 소리들을 듣고 있다. 아니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말 그럴까? 시인은 그걸 의심한다. 밀려왔다 밀려가는 파도는 무엇이며 타는 입술이 입 맞춘 허공은 무엇이란 말인가. 우리 앞에 펼쳐진 세계는 광활하여 기슭에 휩쓸리는 파도처럼 격렬한 투쟁이 있을 것이고 바다에 출렁이는 물결같이 쉬 잠들지 못하는 역사의 출렁임이 있을 것이어서 심상치 않은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소통했다고 믿는 민족 간의, 국가 간의, 계층 간의, 자연과 인간 간의 불화는 무엇이란 말인가? 시인의 고민은 그러므로, 세계적인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불화의 뒤에 병사들이 있다. 불화가 깊을수
2018 발견! 경기동네서점展'에 함께하는 동네서점 ‘생각을담는집’이 오는 27일 ‘김종경의 시로 읽는 우리 동네 용인’이라는 주제의 시낭독회를 개최한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10월26일부터 11월 4일까지 매주 금,토,일에 진행, 경기도내 21개 서점이 참여한다. 용인시 원삼면 사암리에 위치한 동네서점 겸 북카페인 ‘생각을담는집’은 27일 오후2시부터 4시까지 개막 및 메인행사로 용인 출생의 김종경 시인을 초대해 ‘우리 동네 용인의 시’를 함께 읽는 시간을 마련했다. 특히 동네주민들은 물론 용인에 살고 있는 작가 중에 김윤배 시인, 청소년 동화작가로도 유명한 이상권 소설가 등이 참여하고, 시전문지 <더 포지션> 발행인 차주일 시인도 함께할 예정이다. 부대행사로는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학생들이 만든 김종경 시인의 영상시를 상영하고, 동네 주민들도 시낭송에 참여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과함께’라는 남성중창단이 축하곡 ‘위대한 약속’등을 선사할 예정이다. 생각을담는집 대표 임후남 시인은 “2018발견! ‘경기동네서점전’에 함께 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책읽기 좋은 가을 정취에 맞추어
가난한 사람이 예를 잃으면 상스러워지고(貧者失禮及卑), 부자가 예를 잃으면 천박해 지고(富者失禮及賤), 남편이 예를 잃으면 어리석어지고(夫者失禮及愚), 아내가 예를 잃으면 화가 집에 미친다(妻者失禮家及禍). 송문습여록(宋門習與錄)에 나오는 말이다. 여기서 습여는 습여지장(習與智長 버릇은 지혜와 더불어 자라나고), 화여심성(化與心成 변화는 마음과 더불어 이룩된다)에서 출전으로 소학 초두 주자의 말이다. 군자는 남의 아름다운 점은 도와 이루게 하며, 남의 나쁜 점은 이룩되지 못하게 하지만 소인은 이와 반대다. <자왈子曰 군자君子 성인지미成人之美 불성인지악不成人之惡 소인반시小人反是. 논어論語 안연편顔淵篇>. 세상엔 넘어서는 안 되는 선이라는 게 있다. 우리 사회는 이를 모르지 않지만 애써 지키려 들지는 않는다. 그 결과는 참혹하다. 이러 일을 누구보다도 뼈아프게 겪은 중종 때 박세무는 손자 만큼은 이런 식으로 성장하지 말라는 의미에서 손수 손자를 가르치기 위해서 수진본으로 성현의 명구를 엮는데 동몽선습(童蒙先習)이다.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 된다. 천지지간(天地之間) 만물지중(萬物之衆) 유인최귀(唯人最貴)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모든 것들 중에서 오직
맛에 반하고. . . 별채 분위기에 반하고. . . 외관부터 멋진 ‘메이홍’은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용인시청에서도 제법 먼 거리에 위치한 곳입니다. 가는 길이 생각보다 한적해 접근성 좋지 않아 영업하기 힘드실 것 같았는데 북적거리는 손님들을 보고 놀랐습니다. 실내에 들어서면 중식당에서 보기 드문 통유리의 오픈 주방이 눈에 띄는데. 자신 있게 보여주시는 느낌이라 믿음이 가더라구요. 실내는 보통 중식당 분위기에 단체석도 마련돼 있었습니다. 여기까지야 다른 중식당과 비슷한 모습인데 ‘메이홍’의 히든카드는 뒤뜰의 별채! 그냥 개별 룸이 아니라 단독 별채로 만들어져 있어 야외 펜션에 와있는 느낌이었어요. 서울, 지방 두루두루 유명한 중식당들 제법 다녀봤지만 단독 별채로 만들어진 개별 공간은 처음이었습니다. 아늑한 공간에서 특별한 느낌이었습니다. 가격은 보통 중식당과 비슷했는데 사이즈별로 가격이 명시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예전에 서울의 모 중식당에서 식사했을 때 작은 사이즈 표기없이 한 가지 가격만 나와 있었고, 직원분이 인원수 보고 임의대로 큰 사이즈로 주문 넣어서 식사 후 계산할 때 불쾌했던 기억이 있었는데, ‘메이홍’은 정확하게 나와 있어 마음에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