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왈(子曰), 민가사유지(民可使由之) 불가사지지(不可使知之). 논어 태백편에서 공자는 말한다. 백성은 말미암게 할 수는 있으나 알게 할 필요까지는 없다. 이 문장은 실로 많은 해석이 가능하고, 또 그만큼 많은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문장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식음을 전폐해 가면서 만큼의 따질 일도 아니다. 백성이 원하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그냥 잘사는 것. 그게 전부다. 잘살고 못사는 것에 대한 철학적이거나 사변적 이유를 아는 것은 필요치 않다는 말이다. 논어에서 드물게 보는 도가적 자연주의의 논조 속에서 해석 될 수 있는 유일한 문장이다. 여기서 저 유명한 소이연(所以然)이 나온다. 백성은 당연한 도리(道理)에 따르게 할 수는 있어도 그 이치의 소이연(所以然) ‘까닭’을 알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소이연에 관한 논쟁은 기명언과 퇴계의 사칠논변(四七論辨)으로 압축되는데 하서 김인후(金麟厚)를 만나는데서 시작된다. 기명언(奇明彦) ‘기대승(奇大升)’은 1558년 문과에 응시하기 위하여 서울로 가던 중 하서를 만나 태극설(太極說)을 논하다가 퇴계에 까지 불똥이 튀어 1559년부터 1566년까지 장장 8년에 걸친 논쟁으로 조선 유학사에 획을 긋는다. 그렇
촛불혁명으로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1년 반을 넘어섰다. 올해는 한반도에 평화와 화해의 무드가 절정에 이르렀다. 3차에 걸친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굵직한 사건들이 많았다. 판문점 선언과 평양공동선언대로 남북은 적대관계 해소, 민족관계 균형적 발전을 위한 실질적 대책, 이산가족 문제 해결, 다양한 분야의 협력‧ 교류 추진 등이 현실화 되고 있다. 용인시에도 수많은 변화가 있었다. 민선시장을 비롯한 지방의회 구성원이 대폭 물갈이 되었다. 그만큼 시민들은 변화와 개혁을 갈망했던 것이리라. 아직은 선거후유증 때문인지 시정이 어수선한 느낌이다. 하지만 3000여 공직자와 100만 시민 모두 지혜롭게 극복해서 용인시를 발전시켜 나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한 해를 떠나보내며 본지 애독자들에게도 2019년의 새로운 희망과 기운이 넘쳐나길 기원한다. <글/사진: 김종경><용인신문>
동서고금을 무론(毋論)하고 권력에는 늘 보복이 따른다. 물론 권력을 잡은 쪽에서는 “정치적 보복은 없다”고 말을 한다. 하지만 당하는 쪽에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권불십년(權不十年)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 했다. 권력을 이보다 더 명징하게 정곡을 찌른 말이 또 있을까. 권력에도 유통기한은 있다는 말이다. 본래 정치란 국민을 보호하고 잘먹고 잘살게 하며 더 나아가 맘 편하게 해주는 행위이다. 옛날 고리짝 아마도 호랑이 담배 물던 시절쯤에 땅을 때리며 노는 늙은이들의 세월 좋은 노랫가락이 있었다. 이 모습을 본 후대 사람이 이를 그대로 적어 전하길 격양가(擊壤歌)라 했다. 해 뜨면 일하고(일출이작日出而作), 해 지면 잠자고(일입이식日入而息), 목마르면 우물파고(착정이음鑿井而飮), 배고프면 밭 갈아 먹으니(경전이식耕田而食) 임금의 힘인들(제력우帝力于) 내게 쓸모가 있으랴(아하유재我何有哉). 내 집에서 우물 파는데 허가 받을 일도 없고, 농사를 지은들 세금 낼 것도 없으니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이른바 함포고복(含哺鼓腹)의 삶이다. 길바닥에 드러누워 한 손으로는 배를 두드리며 다른 한 손으로는 땅바닥을 토닥이며 흥얼거리는 일이다
<용인신문>
최은진의 BOOK소리 134 자연의 위대한 연결망에 대하여 나무의 노래 ◎ 저자: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 / 출판사 : 에이도스 / 정가 : 8,500원 한해가 저물고 있다. 연초의 확고했던 결심과 달리 이쯤이면 길 잃은 것처럼 불안한 기분이 스멀스멀 올라온다.자연의 일부로 살고 있는 아마존의 와오라니족은 숲에서 길을 잃으면 케이폭나무를 두드린다. 판근을 두드리면 줄기 전체가 진동하는데 이 묵직한 소리로 친구와 가족을 부른단다. 사냥꾼과 전사도 나무를 두드려 원정의 성공을 알린다. 이들의 창조 설화에 케이폭나무가 생명수로 등장하는 건 우연이 아니다. ‘나무의 노래’가 우리의 삶을 구원해주진 못하겠지만 작은 위안은 충분히 줄 수 있을 것이다. 「숲에서 우주를 보다」의 작가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의 두 번째 자연의 이야기. ‘우리 시대 최상급 자연문학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 그의 과학적 탐구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섬세한 통찰력과 시적 감수성이 찬탄을 자아낸다. 그는 머리말에서 ‘호메로스 시대 그리스에서 클레오스는 노래로 불렸다. 개인의 삶에 대한 평가와 기억은 공기의 진동에 담겼다. 따라서 듣는다는 것은 오래 남는 것을 아는 것’이라 했다. 뭔가를 제대로 알기 위해
용인수지의 자랑 ‘디어 필립’ 수지, 풍덕천동에 자그마한 동네 빵집 ‘디어 필립’. 그렇지만 빵 맛이 좋아 수지의 자랑이라 불릴 만큼 사랑받는 곳이에요. 수지구청역 2번 출구에서 나와 여성회관 쪽으로 가다 보면 공영주차장 바로 옆에 위치해 있어요. 매장은 1,2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2층에 테이블 단 3개, 빵이 진열되어있는 1층도 요즘 보통 빵집에 비해서 많이 작은 크기인데 그 안에 옹기종기 제법 여러 종류의 빵이 있어요. 너무 좋아하는 빵집이라 갈 때마다 눈이 반짝반짝! 이 빵 저 빵 다 사고 싶어 고민스러운데 궁금한 빵은 종류에 관계없이 시식 요청 할 수 있어 ‘디어 필립’에서는 고민 無. 그럼 맛있는 빵 이야기해 볼게요. 다양한 페이스트리류가 먼저 눈에 띄는데요. 크루아상도 너무 기름지지 않아 유명한 크루아상 맛 집 콘트란 쉐리에 보다 마음에 들어요. 브런치는 따로 판매하지 않고 샌드위치가 있는데 오픈하고 얼마 안되어 금방 품절되니 맛보고 싶으면 서둘러야 합니다. 가장 애정하는 올리브 빵은 밀도 높아 묵직하면서도 쫄깃한 식감에 올리브가 얼마나 많이 들었는지 식사 대용으로도 좋고, 와인이랑도 참 잘 어울려요. 많이 구입해 냉동실에 넣어두고,
제철 맛있는 굴 먹으러 가세요~ 무슨 음식이든지 제철에 먹어야 맛도 좋고 영양가도 더 높은 건 모두 잘아시죠? 지금은 정확하게 굴 철입니다. 꼭 먹어줘야 하는데요, 굴 요리 전문점이 많지만 그 중에서 인기 많고 유명한 ‘바위꽃’을 소개해 드릴게요. 상호도 너무 예뻐서 한번 들으면 잊어버리지 않겠더라구요. ‘石花’를 한글로 바꿔 사용하셨는데 참 잘 생각하신 것 같아요. 위치는 용인시청 바로 맞은편 큰길 옆이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데 살짝 언덕을 올라가야 매장이 있어서 좀 불편했습니다. 주차장도 좁지 않은 편인데 조금 불편한 구조라 피크타임에는 차들이 좀 엉키더라구요. 참고하세요. 제법 큰 규모의 ‘바위꽃’은 테이블과 개별 좌식 룸으로 되어있습니다. 조용하게 식사하시고 싶으시면 방으로 예약 잡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메뉴는 대부분 굴보쌈, 굴 무침, 굴전, 굴튀김, 굴 탕수육 등 굴 요리들이구요. 가장 인기 메뉴는 굴정식입니다. 굴정식에는 생굴, 굴 무침, 굴전, 석화와 돌솥 굴밥이 나오구요. 계절별로 석화 대신 멍게가 나올 때도 있으니 주문할 때 미리 물어보시면 좋을 듯요. 기본 찬에 어리굴젓이 들어가 있고, 기본으로제공되는 굴 미역국까지 푸짐한 한상
그리움 베리에이션 이 경 철 별거 아니에요 해가 뜨고 해가 지는 거 꽃이 피고 꽃이지는 거 별거 아니에요 가뭇없이 한 해가 가고 또 너도 떠나는 거 별거 아니에요 바람 불고 구름 흘러가는 거 흘러가는 흰 구름에 마음 그림자 지는 거 마음 그림자 켜켜에 울컥, 눈물짓는 거 별거 아니에요 그런데 어찌 한데요 텅 빈 겨울 눈밭 사각사각 사운거리는 저 갈대 맨몸으로 하얗게 서서 서로서로 살 부비는 저, 저 그리움의 키 높이는 어찌 한데요 해가 또 가고 기약 없이 세월 흐르는 건 별거 아닌데요. 이경철의 그리움은 우주의 운행 위에 있다. 우주의 운행으로 해가 뜨고 지는 것이 너무 당연한 것이어서 별거 아닌 것이고 사계가 오고 가는 것 또한 늘 그런 것이어서 별 것 아닌 것이다. 그럴진데 사계 위에서 꽃이 피고 지는 것이 별 것이겠는가. 그에게는 삼라만상이 별 것이 아니다. 바람 부는 것이 별 것 아니고 구름 흘러가는 것이 별 것 아니다. 그러니까 흰 구름에 마음 그림자 지는 것, 마음 그림자 켜켜에 울컥, 눈물 짓는 것이 별것 아니라고 노래하지만 눈물짓는 것이 이미 별 것이다. 왜 울컥, 눈물짓는 걸까. 사랑 때문이다. 사랑이,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
애공이 공자에게 정치를 묻자 공자는 답한다.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정치는 ‘문무지정(文武之政)’기록에 모두 있습니다. 적임자가 있어 그 사람을 들어 정치하면 되지만, 마땅한 인물이 없으면 그런 정치는 못하게 됩니다. 중용 20장에 나오는 이 말을 훗날 순자는 자신의 책 순자군도(君道)편에서 이를 주석하기를 나라를 어지럽히는 군주는 있어도(유난군有亂君) 본래부터 어지러운 나라는 없나니(무난국無亂國)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것은 군주의 몫이지(유치인有治人)나라를 잘 다스리는 특별한 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무치법無治法). 다만(지只) 그 인재를 얻으면 사는 거고(득기인즉존得其人則存) 그 인재를 못 얻으면 망하는 거다(실기인즉망失其人則亡). 춘추전국시대 이전에는 종법제(從法制)다. 누구든 윗자리에 연결된 끄나풀만 있으면 평생 떵떵거리며 살 수 있는 세상이다. 그러나 춘추전국시대가 되면서 출세할 수 있는 오직 하나 뿐인 길이 백 갈래 천 갈래로 나눠진 그야말로 실력만 있으면 재상도 할 수 있고 심지어 군주도 할 수 있는 그런 시대가 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부지언不知言 무이지인야無以知人也)는 지인知人이다. 군주는 사람을
최은진의 BOOK소리 133 대중문화로 읽는 지금 여기 괴물의 표정들 우리 괴물을 말해요 ◎ 저자 : 이유리, 정예은 / 출판사 : 제철소 / 정가 : 16,000원 우린 본 적도 없는 괴물에 관한 이야기를 어린시절부터 들어왔다. 동화책엔 늘 착한 주인공을 괴롭히는 ‘괴물’이 등장했고, 결말은 늘 괴물의 파멸이었다. 왜 인간은 그렇게 다양한 괴물들을 상상까지 동원해서 만들어내고 서사를 꾸며왔을까? 이 책은 인간의 공포가 만들어낸 괴물과 그것을 바라보는 인간에 관한 이야기이다. 대중매체에서 흔히 접했던 여러 괴물들을 끌어와 낯설지 않은 다양한 괴물들이 등장한다. 시대적 배경과 인간의 심리를 기초로 해석한 괴물의 본질엔 인간의 심연에 자리잡은 본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괴물들이 총동원된다. 소설, 영화, 만화, TV 드라마 등 대중문화 속 대부분 괴물은 괴기스런 얼굴을 한 채 우리를 공포에 떨게 하는 생명체라든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그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우리를 위험에 빠지게 하는 존재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한 가지는 괴물은 반드시 눈에 띄는 흉측한 모습을 한 것만이 아니라는 것. 불멸하는 매혹자 뱀파이어, 워킹데드의
대설(大雪)인 지난 7일부터 전국 대부분 지역의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졌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에 한파 특보가 확대되는 등 한겨울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지난 11월 말부터 용인시 3개구마다 설치된 대형 성탄트리에 불이 켜졌다.부디 성탄절과 연말연시를맞아 온 누리에 사랑과 평화, 행복이 가득하길 기대한다. 사진은 지난 7일, 죽전역 앞에 불 밝힌 성탄 트리 모습. <글/사진: 황윤미 본지 객원사진기자><용인신문>
<용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