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석은 신장에서 생성 되어 신장 내에 존재할 경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가 요관 어딘가에 걸리게 되면 극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즉 결석이 신장에 있거나 방광으로 빠지면 통증이 없지만 그 중간 통로인 요관에 걸릴 경우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옆구리 통증이지만 하복부나 골반, 생식기 통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위장관계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오심, 구토, 복부 팽만, 소화 불량 같은 증상이 흔히 동반됩니다. 그 밖에 혈뇨, 빈뇨, 절박뇨, 배뇨장애와 같은 하부요로증상이 수반될 수도 있습니다. 간혹 옆구리 통증과 함께 발열, 오한, 근육통 등의 ‘몸살증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패혈증까지도 진행 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즉시 병원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요로 결석이 의심될 경우 요검사, 복부단순촬영 및 비조영제CT 촬영을 통해 진단합니다. CT는 결석의 위치와 크기를 확진하기 위한 것이고 복부단순촬영은 향후 치료 반응을 비교함과 동시에 체외충격파 쇄석술(이하 쇄석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쇄석술은 복부단순촬영의 화면을 참고해 결석위치를 확인하므로 단순촬영에서 결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야 쇄석술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관 결석을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이유는 통증보다는 막힌 요관이 오래 방치될 경우 신장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증상을 일으키는 요관 결석의 경우 결석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른데 크기가 3mm 이하고 하부 요관에 걸려있는 경우 하루 3L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 및 운동, 그리고 약물 요법을 통해 자연배출이 가능하나 크기가 크거나 상부 요관에 걸려있는 대부분의 경우 쇄석술이 필요합니다. 쇄석술은 충격파를 일으켜서 결석을 분쇄해 소변으로 자연 배출시키는 치료로 마취와 입원이 필요 없는 비교적 힘들지 않고 간단한 치료입니다.
태어난 지 몇 개월 되지 않은 영아부터 90세 이상의 고령자까지 모두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쇄석술은 대부분 1회 시술로 해결 되지만 결석이 단단한 경우나 그 밖의 여러 요인들에 의해 2회 이상의 시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쇄석술로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입원하여 전신마취 하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요로 결석은 일단 앓고 난 뒤라도 10년 내에 재발할 확률이 50%입니다. 따라서 자주 결석이 생기는 경우라면 대사 이상이 있는지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