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성 해양생물독소 예방 위해 한ㆍ일 공동 연구 착수

  • 등록 2018.03.27 11:40:57
크게보기


(용인신문)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서장우 원장)은 수산물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 중앙수산연구소와 아열대성 해양생물독소에 대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한·일 공동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해역의 해양생태계의 변화로 한국과 일본 연안에 아열대성 해양생물의 출현 빈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해양생물독소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추진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그 일환으로 지난 3월 18일부터 21일까지 일본 해양생물독소 전문가를 초청하여 시구아톡신* 정제 및 분석법 표준화를 마쳤다.

* 시구아톡신(Ciguatoxin)은 산호초와 해조류 표면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플랑크톤(Gambierdiscus toxicus)이 생성하는 독소로 먹이사슬에 따라 독화된 어류를 사람이 먹게 되면 설사, 메스꺼움 등 소화기계 증상이 주로 발생하고, 온도감각이상, 관절통 등의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기도 함. (붙임 자료 참조)

또 이 기간 중에 학술세미나도 개최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마비성패류독소와 아열대 해양생물이 지닌 독소(브레비톡신*)에 대한 연구 정보를 교류하고, 해양생물독소에 대한 사전적 예방 관리 및 역량 강화를 위해 협업 방안을 논의하였다.

* 브레비톡신(Brevetoxin)은 와편모조류 카레니아 브레비스(Karenia brevis)가 생성하는 신경성 패류 독소로 독화된 패류를 사람이 먹게 되면 구토, 감각 및 사지 기능장애,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브레비톡신은 열에 강하여 독화된 패류를 가열 조리하여도 파괴되지 않는 특성이 있음. (붙임 자료 참조)

손광태 식품위생가공과장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해양생물독소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일본과 공동연구로 추진한 기후변화 등 미래 식품 안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종경 기자 iyongin@nate.com
Copyright @2009 용인신문사 Corp.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용인신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지삼로 590번길(CMC빌딩 3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35-81-21348 | 등록일자 : 1992년 12월 3일
발행인/편집인 : 김종경 | 대표전화 : 031-336-3133 | 팩스 : 031-336-3132
등록번호:경기,아51360 | 등록연월일:2016년 2월 12일 | 제호:용인신문
청소년보호책임자:박기현 | ISSN : 2636-0152
Copyright ⓒ 2009 용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ongin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