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규 시인의 시로 쓰는 편지ㅣ하우스 오브 카드ㅣ신혜정

  • 등록 2018.01.02 08:30:59
크게보기

이은규의 시로 쓰는 편지

 

하우스 오브 카드 / 신혜정

 

 

손 안 대고 코를 풀 방법을 찾느라

코가 흐르는 것도 까맣게 모르고

 

이사 가서 쓸 세탁기를 고르느라

빨래가 쌓인 것도 잊어버려

 

이제는 더 이상 시를 못 쓸 것 같다고 말하다가

어느새 시가 오는 것도 잊은 채 그만

 

아아, 가습기를 선물한 남자애를 좋아했네

비 오는 줄도 모르고

창문을 꼭꼭 닫아둔 채

 

 

 

신혜정 시인의 전언에 귀 기울여봅니다. 시 속의 우연적인 상황은 일련의 사건의 반영이 아닌데, 이는 이 상황들이 일종의 내적 규칙에서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언뜻 시적 주체의 선택적 태도는 비본래적. “세탁기를 고르느라/빨래가 쌓인 것도 잊어버려정작 입을 옷이 없는 생활. “이제는 더이상 시를 못 쓸 것 같다고 말하다가/어느새 시가 오는 것도 잊은 채 그만//아아”. 망각의 망각, 상실의 상실은 일상이라는 몽타주를 통해 결국 삶으로 환원되는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연결고리를 끊는 일 혹은 이어가는 일, 실재의 윤리는 여기서 구축되겠지요. 자신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 완전히 몰입할 준비가 된 누군가에게 일체의 윤리적 존엄을 인정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쓰는 행위 속에서 전체 혹은 전부입니다. ‘분열되어있거나 빗금쳐져있지 않습니다. 시인은 쓰는 행위 이후에서야 주체적 자리를 발견하며 그 자리로부터 뒤돌아보면서 그거야, 이것이 나의 욕망이었어, 라거나 나는 이것(그것)이야, 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겠지요. 그러한 의미에서 실재의 윤리여 오라. *

 

 

이은규 시인 yudite23@hanmail.net

 

용인신문 기자 webmaster@yonginnews.com
Copyright @2009 용인신문사 Corp.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용인신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지삼로 590번길(CMC빌딩 3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35-81-21348 | 등록일자 : 1992년 12월 3일
발행인/편집인 : 김종경 | 대표전화 : 031-336-3133 | 팩스 : 031-336-3132
등록번호:경기,아51360 | 등록연월일:2016년 2월 12일 | 제호:용인신문
청소년보호책임자:박기현 | ISSN : 2636-0152
Copyright ⓒ 2009 용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ongin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