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쓰레기 대행업체 2곳 임금 협상 ‘난항’
25일 경기노동위 재조정…결렬시 ‘파업’ 예고
용인시에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을 대행하고 있는 업체 중 기흥구 5개동을 맡고 있는 2곳이 임금 협상과 관련 노사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노조측은 임금협상이 결렬될 시 총 파업에 들어간다는 입장으로 기흥구 쓰레기 대란도 우려되고 있다.
현재 용인시에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을 하고 있는 업체 중 노조가 구성된 업체는 5곳으로 이중 1업체는 노사 자율 협상으로 임금이 인상 됐으며 2곳도 노사 협의로 임금이 30~50여 만원 인상 된 상태다.
시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용인시와 각각 월 1억여원 연간 12억5000여만원에서 12억7000여 만원으로 계약 14억원에서 15억원 가량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한국노총 용인지역지부와 노동조합에 따르면 용인시에서 생활폐기물처리 대행 업체는 모두 8곳으로 수지지역을 제외하고 노동조합이 결성된 곳은 5개 업체, 이 중 한국노총 산하 중앙환경이 45만원 인상 된 290만원에 임금 협상이 타결 됐으며 지난달 27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본조정과 15일간의 조정 기간 동안 업체 측과의 협상으로 용진실업과 중앙실업 등 2곳이 평균 40만원 인산된 270~290만원 선으로 임금이 인상됐다.
그러나 기흥구 신갈, 상갈, 상하, 동백, 구성동 등 6만3000여 가구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는 용인환경과 한우리환경은 노조측과의 의견 차이로 임금 협상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 두 업체에서는 앞서 임금이 임상된 업체들의 인상폭이 크다는 이유로 10~15만원의 임금 인상을 주장하고 있으며 노조측에서는 타 업체의 수준으로 임금을 인상해야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에 노조측에서는 지난 12일을 최종 협상 시한으로 정하고 협상이 결렬되자 총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그러나 한국노총 용인지역지부의 중재로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재조정을 신청, 15일간 동안 임금 교섭을 벌이기로 한 상태다.
이와 함께 노조측은 “임금 인상이에 합의하지 않는 업체의 손익계산서를 비교해 본 결과 타 업체에서는 잡지 않은 목록 등에 과다 투자하는 등 이해 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며 “업체 측이 과다하게 이익을 남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노조측은 “자체로 환경단체 매출을 비교해 본 결과 50%가까이 이득을 남기는 업체도 있었다”며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한 이익을 나눠 타업체의 수준으로 임금을 달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25일에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재조정이 있을 예정이나 노조측은 임금 협상이 결렬 될 경우 파업에 들어간다는 입장을 고수, 기흥구의 쓰레기 대란도 우려되고 있다.
김미숙 기자
kiss1204h@yonginnews.com
Copyright @2009 용인신문사 Corp.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