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달 23일 시가 발표한 IT산업 집적시설 개발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서천택지개발지구는 지식기반산업에 요구되는 관련산업집적, 부품공급처, 시장접근성, 기술인력 등이 잘 갖추어져 기업의 거래비용이 최소화 되는 지역으로 기업들의 입지수요가 많을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IT집적시설 건립으로 시의 재정수입 증가뿐만 아니라 고용 창출 2079명 생산유발액 3876억원이 증가된다.
그러나 이날 보고회 이후 고용 창출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부풀려 졌다는 의혹이 일자 시는 지난 4일 최종용역보고회를 다시 개최했다.
이날 용역보고회에서 용역을 맡은 경기개발연구원은 IT산업 집적시설의 필요성과 입지여건 분석, 사업성 등을 다시 발표한 뒤 경제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하지만 2주전 발표된 보고서와는 달리 고용은 847명 증가되고 생산유발액은 1507억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 지난달 23일 발표한 결과보다 크게 감소했다.
이에 보고회에 참석한 시의원은 “단2주만에 지역경제 파급효과분석이 2/3가 줄어들었다는 것은 아무리 추측이라지만 주먹구구식의 타당성 결과”라고 지적 했다.
이와 함께 수백억 투자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 됐다.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용인시, 수원시, 화성시의 종사자수를 비율로 배분한 고용파급효과에서 3개시의 종사자수 대비는 수원시가 가장 높은 43.4%, 화성시가 29.3%인 반면 용인시 종사자수 비율은 27.3%에 그쳤다.
한 시민은 “용인시가 투자를 하는 사업에 인근 시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는다면 시에서 수백억원을 투자해 만드는 의미가 없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측은 “IT직접시설은 기업지원과 육성 측면이 크다”고 강조,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