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관련기사 9면>
지난 1일 서정석 시장을 접견한 캐나다 봄바디어사의 로랑보도인(Laurent Beaudoin) 회장이 금융적 문제를 거론하며 “사업상 재협상은 불가하며 원안대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
시와 용인경전철(주)에 따르면 시는 당초 봄바디어사와의 협약에서 개통이후 운영수입이 당초 예상규모의 90%를 밑돌 경우 부족분을 모두 보전해 주기로 계약한 상태다.
하지만 분당선 연장선의 지연으로 환승승객의 확보가 현저히 감소, 운영 수입 보장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연간 235억원에서 647억원까지 5년간 모두 2573억원이 예상되는 전철 운영상의 적자분을 시민들의 세금으로 보전해 주어야 할 처지에 놓였다.
현 상황이 이렇게 전개 되자 서 시장은 로랑보도인 회장단 접견 자리에서 재협약의 의지를 강하게 표명했다. 서 시장은 “전국에서 최초 추진에 따른 협약관계와 공사 진행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며 “분당선연장선의 지연에 따른 손실 보전, 최소운영수입 보장 등 실시협약에서 나타나는 불합리한 부분을 재검토하고 재협약 해야한다”고 밝혔다.
또한 서 시장은 “협상이 다시 이루어져야하는 것은 일방의 사정을 감안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국제관계, 현 상황, 협력 차원에서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쌍방이 법적다툼이 생기는 일이 없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로랑보도인 회장은 “금융쪽에 지켜야 할 조건이 있어 우리가 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으며 처음 협의대로 사업을 진행 할 수 밖에 없다”고 못 박았다.
이에 시민단체 및 시의회에서는 시가 봄바디어사와의 재협약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며 실질적인 대안책 강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실제 수지시민연대에서는 경전철이 착공되기 전부터 수요예상에 따른 문제점등을 지적해 왔다.
수지시민연대 강성구공동대표는 “착공 전부터 제기됐던 문제점으로 시는 불평등한 협약 자체부터 재검토 해야 한다”며 “잘못된 부분은 공표하고 시에서는 봄바디어사와의 재협약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계획을 자체적으로 분석해 제시하는 등 특단의 조치가 마련되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시의회에서는 “운영적자분 뿐 아니라, 환경부 오염총량제, 도비 지원 불가 등 경전철과 관련한 문제점등이 현실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는 구체적인 계획을 빠른 시일 내에 세워야 엄청난 시민 혈세 낭비를 막을 수 있다”며 “시에서는 반듯이 재협상을 이끌어 내야하고 이가 불가능 하다면 지금 이라도 공사를 중단하고 대안책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시 관계자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경전철 사업 준공 후 연장까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법으로 실무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