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1월 시가 발표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지역 내 사업체의 주요 증가업종은 교육서비스업(345개↑), 도·소매업(343개↑), 운수업(273개↑), 부동산임대업(253개↑), 제조업(222개↑), 보건복지업(219개↑) 등으로 지역경제에 바탕이 되는 제조업은 10%로 교육, 운수, 부동산 등 서비스산업체 비율이 80%에 다다른다. 통계에도 나타났듯이 생산기반시설이 매우 낮은 게 용인의 현실이다.
여기에 20년 이상 지역 경제를 이끌어온 토종 기업들이 속속 용인을 빠져나가고 있다. 녹십자 기흥공장이 이주를 시작했고 서울우유, 한화제약을 비롯한 제약회사 대부분이 타 지역으로의 이주를 계획하고 있다.
△용인은 잠자리, 일터는 타 지역으로
매일 아침 6시부터 7시 서울로 빠져나가려는 차량들로 수지구 풍덕천동을 비롯한 용인 곳곳의 도로들이 정체현상을 빚고 있다. 오후 퇴근길도 마찬가지 용인으로 들어오려는 차량들로 또다시 용인 곳곳의 도로는 정체 된다. <관련기사 본지 676호 7면>
출근 시간은 하루평균 3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그나마 일요일에 서울로 출근하는 주민들은 버스가 6시 40분쯤 출발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20분 일찍 집을 나선다. 그렇다고 서울로 이동하는 버스의 사정이 좋은 것도 아니다. 동백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광역버스는 고작 7대뿐, 아침마다 출·퇴근하는 사람들로 콩나물시루를 방불케 한다.
이 같은 현상은 대규모 택지개발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계속되고 있는 풍경이다.
△문화·쇼핑공간 부족… 산업은 공동화
문화와 쇼핑공간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용인시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11.5%로 지난 2000년 39만 5000명 이었던 인구는 78만여명으로 급속하게 늘어났다. 이 후 식당업 등 영세 서비스업이 주종을 차지하는 기형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용인음식업조합에 따르면 지역 내 식당은 인구 100명당 1개씩일 정도로 늘어났다. 용인시의 음식업종의 총 개수는 7000여개, 이중 2000여개 업소가 소실·폐업 등으로 실질적인 운영이 어려운 경우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용인시의 산업 공동화가 가속되고 있다는 단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서비스업 비중은 높지만 도심과 신시가지 등 대단지 상가들은 영세업체들이 대부분이다.
기흥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정모(여·44)씨는 “인근 300여 개의 상가점포 중 일부 삼겹살집·횟집 등 대중식당, 학원 등을 제외하면 장사가 안돼 1년 내에 문을 닫는 업소가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업체 대부분 서비스업, 생산력 갖춘 제조업 늘려야
용인이 생산과 소비의 순환구조를 이루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산업기반을 갖춘 자족도시의 면모를 갖출수 있는 행정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용인시의 경우 택지개발이 끝나고 2007년 이후 세입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사업체 수가 382개가 증가했지만 그 속을 들여다 보면 지기업체의 수는 늘어났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지난 1월 시가 발표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제조업 비율은 10%, 서비스 산업비율이 80%에 다다른다. 통계에도 나타났듯이 생산기반시설이 매우 낮은 게 용인의 현실이다. 그만큼 용인은 일자리가 없다는 말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 1996년부터 경기도에서 지원하고 있는 아파트형 공장이 용인에는 한 곳도 없다. 이천, 안성, 동두천시 등에도 최소 2개의 아파트형 공장이 설치돼 있는 것과는 비교되는 현실이다.
여기에 토종 기업으로 20년 이상 용인에서 자리한 기업들의 누수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기흥구의 녹십자를 비롯해 수년 간 지역에서 터를 잡고 있던 한화 제약 등 대다수의 제약회사와 서울우유, 자동차 부품 업체인 동우만앤유멜 등 지역의 경제를 이끌어 온 기업들이 타 지역으로의 이전을 계획하거나 이미 이전을 시작했다. 이에 기업 관계자들은 기업 이전으로 인한 경제적인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지역 경제를 이끌어 온 기업들은 떠나고 소규모의 도·소매업과 서비스업종의 기업들만이 새롭게 용인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것. 특히 중기업의 역외 유출로 한창 일할 나이인 20~30대 인구가 적어 주력층이 퇴직한 10년 내지 20년 후에는 큰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용인 지역 내 자리한 대학 졸업생 중 지역 내 기업으로의 취업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S대학의 경우 지난해 지역 재학생 2000여명 중 10%도 안 되는 학생만이 용인 지역의 기업으로 취업을 했다. 이 대학의 경우 졸업생의 취업률은 90%에 다다른다.
처인구의 A기업 관계자는“단순히 대규모 택지개발에만 치중해 향토기업 육성을 소흘히 한다면 용인시의 장기적 발전에 큰 위해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시는 지역 경제에 바탕이 되는 제조업 등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베드타운화… 시, 기업 행정 마인드가 좌우
해양도시로 경제적 자립도가 높았던 부산광역시에서는 현재 베드타운 현상을 막기 위한 행정적인 노력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특성화 된 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통계청과 함께 지역별 특성화 조사에 착수, 자족도시를 유지하기 위한 한 방도로 지역 별 소비 성향, 주거 상황, 경제현황파악 등 특징을 구별해 특색 있는 구역별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그러나 용인시의 경우 서부권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난개발 치유를 위해 개발을 자재하고 동부권은 균형발전을 위해 전원형 상업 자족 도시로의 개발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나 이를 위한 사전 조사는 충분하지 않았다는 평가다. 지역경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도 부족할뿐더러 경제 지표나 통계자료도 부족한 상황이다.
A대학 관계자는 “오염 총량제 등 각종 규제로 용인이 기업하기에 안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용인시의 경우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지자체 단위의 정확한 경제지표와 통계자료 등이 우선 갖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기흥구의 B대학 관계자는 “자립기반 확충을 위해 다른 시·군에서는 소기업이라도 유치하기 위해 혈안인데 반해 용인은 아무런 대책이 없다”며“각종 규제로 인해 기업하기 어려운 환경이 주어졌다면 지자체에서 대안을 찾는 노력이라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시에서도 지역 경제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실제 시에서는 유림·유방지구와 남곡지구 등 공업지역을 남사면 북리지역으로 이전해 집적화 할 계획이다. 또 남사면 일원에 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시 지역경제과에 따르면 IT산업 육성을 위해 600~7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IT집적단지를 개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 계획 단계로 어느 지역에 만들지는 지정되지 않았으나 5월 중으로 시의원 등 관계자들에게 브리핑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각종 규제 등으로 계획이 실행될지는 미지수다.
A대학 관계자는 “용인지역은 자연 경관이 좋고 에버랜드와 민속촌 등 수도권에서도 보고 즐길 수 있는 곳이 많아 인근을 체류형 관광단지로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며 “시의 기업 행정 마인드에 용인이 자립 도시로 성장하느냐 마느냐가 달려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