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환경/사회

살처분 매몰지 오염 대책 없다

상수원 오염 등 우려…백암지역 주민불안 ‘확산’

용인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살처분되 가축수가 11만 마리를 넘어섰다. 지난 1월 4일 백암면에서 최초 발생 후 약 한달 여 만의 수치다. 시 전체 축산업의 40%, 용인지역 축산유통의 60%를 차지하는 백암면 지역 우제류 70%이상이 살처분됐다.


이에 따라 매몰지 인근의 침출수에 따른 지하수 및 하천 등 상수원 오염, 악취 등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물론, 용인시 등 지자체 차원의 2차 오염 방지대책은 사실상 없는 상태다. 구제역과 AI 등 가축 전염병이 아직 확산추세에 있어 사후 오염 방지 보다는 여전히 전염병 확산방지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11월부터 구제역과 조류독감 등으로 전국적으로 약 857만 여 마리의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이 매몰됐다.


정부의 가축 전염병에 따른 살처분 지침에 따르면 살처분 대상지는 집단가옥·수원지·하천 및 도로에 인접하지 않고 사람 또는 가축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장소로 규정돼 있다.
또 살처분 장소에는 2겹 이상의 비닐위에 생석회와 흙을 얹어야 하고, 가스 배출관과 배수관을 매설토록 돼 있다.배수관 매설은 침출수 유출을 우려, 매몰지 인근에 저류조에 이어지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도로 및 소하천 등에 인접한 매몰지가 다수다. 구제역과 조류독감이 휩쓸고 간 지역 대부분은 매몰처분 및 확산방지에 급급한 나머지 저류조 매설은 대부분 하지 못했다.

용인지역 매몰지 다수도 소하천과 농수로 등에 인접해 있다. 저류조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용인시의 경우 총 10만 9000여 마리의 가축이 백암면 지역 73개소에 나뉘어 매몰됐고, 약 1000여 마리가 원삼면 지역 4개소에 살처분됐다. 이에 따라 살처분 가축이 집중된 백암지역 매몰지 인근의 2차 오염이 심각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2차 오염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달리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대책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다. 정부와 경기도는 지난 9일에서야 매몰지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김학규 시장도 지난 10일 백암면 지역의 상수도 미 공급 지역에 대한 상수도 공급시설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근본적인 대안은 없는 상황이다. 최근 내려온 정부의 매몰지 사후관리 매뉴얼에 따르면 악취발생시 가스관 내에 악취제거제를 투입하고, 침출수 유출시 톱밥과 생석회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라는 것이 전부다.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살처분 시 매몰지 주변의 차수벽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침출수에 따른 오염방지를 위한 정부 매뉴얼이다. 뿐만 아니라 각 지방정부도 환경오염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매뉴얼을 만들어 시행 중이다.


시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자체적인 방안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고충을 토로했다.
이어 “현재 매몰지 인근의 저류조 설치를 단계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하지만 매몰지 주변의 2차 오염을 100%막지는 못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백암지역 주민들은 더욱 불안한 분위기다. 주민들은 “매몰지 침출수 문제는 그야말로 대재앙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민 이 아무개(39·백봉리) 씨는 “침출수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전염병이 가장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특히 면역체계가 약한 어린이들의 건강이 가장 걱정된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용인지역 매몰지의 경우 대부분 민가와 멀리 떨어져 식수 등 생활용수 오염에 대한 우려는 다른 지자체에 비해 낮은 편이다.


하지만 농경지와 인접해 다가올 농번기 농업용수 오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청미천과 백봉천, 용천천 등 지방하천으로의 유입 방지를 위한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특히 청미천의 경우 백암지역 내 소하천들과 이어지며 근삼리와 장평리, 백암리, 옥산리 지역의 생활·농업용수로 일부 활용되고 있다.


시 집행부도 이 같은 우려에 대해 일부 공감하고 있다. 가축을 산 채로 묻는 과정에서 비닐 등이 찢겨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익명의 시 관계자는 “솔직히 가스관과 배수관이 살처분 매뉴얼에 따라 모두 매설됐는지도 의문”이라며 “이미 침출수가 유출된 지역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살처분에 투입됐던 시 공직자는 “매몰과정에서 비닐이 다수 찢겨져 침출수 유출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해빙기가 오면 악취 문제 또한 심각해질 것으로 본다”며 “정부와 각 지자체별 매몰지의 특성을 감안한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동취재 이강우, 김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