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방서(서장 이동우)에서는 소방방재청(경기소방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화재분류체계 혁신(안)시행으로 화재조사 및 보고방법 등이 내년 1월부터 변경 운영될 것에 대비, 소방공무원들에 대한 교육과 시민 홍보에 적극 나선다.
혁신안이 시행되면 화재 데이터 관리, 분석, 정보에 대한 선진국형 화재정보 분석시스템을 갖추게 되다.
국가화재분류체계 혁신안을 살펴보면, 화재원인을 종전 전기 등 11개 종류에서 156개 종류로 세분화했고, 화재발생 장소도 26개 종류에서 588개 종류로 분류해 화재발생장소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방화의 명백한 정도에 따라 ‘방화’와 ‘방화의심’으로 구분하고 ‘언제’, ‘어디서’, ‘무슨 목적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방화를 일으켰는지를 정밀하게 조사해 방화대책 추진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소방방화시설 22종에 대해 유효성 유무를 관리·분석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소방관서에서 사용하는 ‘서술기입’식 ‘화재 조사서식’을 ‘체크리스트’식으로 개선하고 조사항목도 27종에서 230종으로 대폭 확대해 표준화함으로써 입체적 데이터(Data)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소방서 화재조사팀은 이 혁신안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지난해 12월 31일까지 화재조사 종합발생 보고에 대한 시범 운영을 실시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이와 관련 직원교육과 시민 홍보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