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재 처인구청 주변 상가들은 점심시간 공무원들로 북적이던 모습은 사라지고 상가의 업종이 한 달 사이로 바뀌는가 하면 가게를 내놓은 곳도 많다. 이마저도 거래가 성사되기 힘든 상황으로 대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지난 100여년간 용인시 중심지로 자리 잡았던 중앙동 지역 주민들도 상권이동으로 인한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처인구청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김 아무개씨는 “오래도록 자리 잡고 있던 시청이 이전을 하면서 주변 식당이 타격을 입고 있다”며 “중앙동 재래시장 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상인들의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녁 8시만 되도 지나다니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동인구가 현저히 줄었다”며 “장사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없는 상태”라고 하소연했다.
시는 지난해 중앙동 상권을 살리기 위한 대책으로 인근 도로를 ‘로데오 거리’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추진 중에 있다. 이에 중앙동 주민들은 로데오 거리 조성이 상권을 활성화 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용인 시네 1번가’가 올해 말 김량장동에 들어설 계획이다.
그러나 앞으로 상권이 얼마만큼 살아날지는 미지수다. 근본적인 문제는 시청사 이전에 따른 상권 이동이다.
지난 2005년 부터 시청사와 시의회, 보건소 등 관공서가 문화행정타운에 입주했다.
신청사에 근무하는 공무원은 700여명으로 공익요원과 공공근로자, 일용직 까지 합하면 최소 800명 정도가 상주해 있다.
또 경찰서, 문화원 등 관계 기관 근무 종사자와 유동 인구 역시 상권이동을 불러 왔다. 여기에 대형할인매장 이마트가 문을 열었고, 새로운 택지개발지구의 지정으로 이 일대의 유동인구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아울러 시는 문화복지행정타운 일원 30여만평을 상업지역으로 지정, 개발계획을 수립 중에 있고, 용인지방공사는 도시기본계획상 주거지역인 역북동 528-10번지 일원 6만㎡(약1만8000평)에 대해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했다.
삼가동의 A부동산 대표는 “행정타운 앞 지구단지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면 용인시의 생활 중심 로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편, 구 시가지의 상인들은 “상권의 활성화는 유동인구의 증가가 관건”이라며 “협소한 버스정류장 확장, 주차문제 해소 그리고 보행자 위주의 거리를 조성하는 등 실질적인 시의 대안이 세워져야 한다”고 지적했다.